시작페이지로 | 즐겨찾기 추가 처음으로 | 로그인 | 회원가입

Home 능인스님의 불교행복론
괴로움을 이기는 선업 공덕
능인 스님의 불교행복론38 ⓒ 장명확 어떤 사람은 한 냥의 빚에도 묶이고, 어떤 사람은 백 냥 혹은 천만 냥의 빚을 졌더라도 묶이지 않는다. - 아함경 소금의 비유경 - 위 경구의 ‘묶이다’의 의미는 자유롭지 못하고 괴로운 상태를 이야기한다. 이 괴로움의 강도는 괴로움을 받는 사람의 상태에 따라서 커…
신능인 스님 | 2019-04-01 08:57
네 가지의 기쁨
능인 스님의 불교행복론 37 ⓒ 장명확 부처님께서는 네가지의 기쁨에 대해 말씀하신다. 1 소유의 기쁨 2 공덕지음의 기쁨 3 빚 없는 기쁨 4 비난받지 않는 기쁨 등이다. 첫째 소유의 기쁨은 열심히 팔을 걷어 부치고 노력해서 재산을 얻고 땀을 흘리면서 일해서 재산을 모으고 ‘이 재산은 나의 것이다. ’ 라…
신능인 스님 | 2019-03-25 08:27
아직 쓸 곳을 찾지 못하였을 뿐
능인 스님의 불교행복론 36 ⓒ 장명확 중국의 춘추전국 시대 제나라에 어진 선비와 호걸을 사귀기 좋아하는 맹상군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어진 선비와 사람을 좋아하였기에 맹상군에게는 많은 인재들이 따랐습니다. 진나라의 소왕이 그 명성을 듣고 만나기를 청하였습니다. 그런데 …
신능인 스님 | 2019-03-18 13:41
여덟 종류의 도둑
능인 스님의 불교행복론 35 ⓒ 장명확 부처님이 제자들과 함께 '도사'라는 마을에 들르게 되었다. 이때 촌에 흉년이 든 때였다. 이때 촌장이 부처님께 항의하였다. “1,250명이나 되는 제자들과 함께 마을에 방문하는 것은 사람들에게 이익을 주는 것이 아니라 큰 손해와 괴로움을 주는 것이라고”이…
신능인 스님 | 2019-03-11 08:34
연기를 아는 자의 번영과 행복
능인 스님의 불교행론 34 ⓒ 장명확 영국 옥스퍼드대 인지진화인류학연구소의 연구진이 문헌학연구를 통해 전 세계를 관통하는 일곱 가지 보편적 도덕 규칙을 찾아냈다. 그들의 결론은 이 7가지다."가족을 도와라, 소속 집단에 충성하라, 호의를 갚아라, 용감하라, 윗사람을 따르라, 자원을 공평하게 나눠라, …
신능인 스님 | 2019-03-04 08:40
순간에 충실한 행복
능인 스님의 불교행복론 33 ⓒ 장명확 과거에도 메이지 말라. 미래에도 메이지 말라. 오늘에도 메이지 말라. 지금 이 순간에 충실하라. 과거의 일들이 나의 마음에서 떠나지 않고 멤 돌때는 모든 것이 지나 간 것임을 떠올리라. 나는 과거로 갈수도 없고 갈 필 요도 없음을 떠올리라. 과거의 나쁜 …
신능인 | 2019-02-25 08:49
돌려줌의 행복
능인 스님의 불교행복론32 ⓒ 장명확 불공의 식순 마지막에는 축원이 들어있다. 이 축원의 내용 중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부처님께 공양 올리고 염불해서 쌓은 모든 공덕을 온 법계에 회향합니다.” 이 구절은 지금까지 열심히 염불하고 공양해서 이룬 공덕을 자기가 갖지 않고 모두 다른 …
신능인 | 2019-02-18 07:45
버려지는 나의 행복
능인 스님의 불교행복론 31 ⓒ 장명확 태평양 북동부 해상에 바다에 떠다니는 온갖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모여 이루어진 태평양 거대 쓰레기 더미 (Great Pacific Garbage Patch) 또는 플라스틱 소용돌이 (Plastid Vortex)로 불리는 한반도 면적(22만㎢)의 7배에 달하는 초대형 쓰레기 ‘섬’이 있으며 그로 인…
신능인 | 2019-02-07 08:06
은혜를 알고 갚는 행복
능인 스님의 불교행복론 30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아침에 삼백 가마솥의 밥을 중생에게 보시하고 낮과 저녁에도 그렇게 하였다 하자. 또 다른 사람은 소젖을 짜는 잠깐 동안이나마, 모든 중생에 대해 사랑하는 마음을 닦아 익혔다하자. 가마솥 밥을 보시한 사람의 공덕은 사랑하는 마음을 닦아 익힌 사람…
신능인 | 2019-01-28 08:10
법계에서의 행복
능인 스님의 불교행복론 29 ⓒ장명확 ‘컴퓨터를 고장 없이 최대한 사용하기 위해 지켜야 할 일들’“컴퓨터가 제대로 작동이 안 된다고 화를 내지 않는다. 여유를 갖고 한 걸음 물러서서 원인을 찾아보도록 한다. ···중략···또 조급한 나머지 키보드를 무의식적이고 신경질적으로 힘을 주어 세게 두들기…
신능인 | 2019-01-21 07:06
만족함의 행복
능인 스님의 불교행복론 28 요즘 사회문제 중의 하나가 부모와 자식 사이에 일어나는 ‘존속 살해’가 있다. 모든 존재는 반드시 부모님의 은혜를 입지 않고는 태어날 수 없다. 이는 모든 존재가 태어남과 동시에 부모님에게 큰 빚을 지게 되는 것으로 인과의 도리에 의해 그 은혜를 갚지 않을 수 없다. 부처님…
신능인 | 2019-01-14 08:08
미래의 행복
능인 스님의 불교행복론 27 ⓒ장명확 미린다왕은 수행승인 나가세나 존자에게 물었다.“왜 사람들은 평등하지 않습니까? 어떤 이는 단명하고 어떤 이는 장수하며, 자주 앓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건강한 사람도 있습니다. 또 어떤 이는 힘이 약하지만 어떤 이는 힘이 강합니다. 한 쪽은 가난한데 다른 한쪽에서는 …
신능인 | 2019-01-07 09:02
근원적인 행복
능인 스님의 불교행복론 26 ⓒ장명확 중국 근세에 허운이라는 큰 스님이 계셨는데 그 분은 120세까지 사시면서 후학들을 죽는 날까지 가르치시다가 열반하셨다고 한다. 100세를 넘긴 이 스님의 삶을 보면 제자는 있으나 친구는 없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보람차게 행복하게 120년의 인생을 사셨던 것 같다. …
신능인 | 2018-12-24 07:56
선업을 꾸준히 쌓아가는 행복
능인 스님의 불교행복론 25 ⓒ장명확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함(구부득고求不得苦) 부처님께서는 이 세상에 있는 괴로움을 간략히 여덟 가지로 정리하셨다. 그중의 하나가 원하나 얻지 못하는 괴로움이 있다. 이 괴로움을 꿈 많은 생활인은 항상 만나는 것이다. 성공하는 사람은 적고 실패하는 사람은 많다.왜…
신능인 | 2018-12-17 07:53
중생의 은혜를 감사하는 행복
능인 스님의 불교행복론 24 ⓒ장명확 혼자서 세상을 살아갈 수 있을까?가끔 세상에 홀로 내팽개쳐진 것 같은 외로움을 느끼기도 하고, 가족이나 주위 사람들 때문에 괴로움을 당할 때 차라리 세상에 혼자 있으면 편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나 누구나 알고 있듯이 세상은 혼자 살수 없다. 부모 없이는 …
신능인 | 2018-12-10 07:36
 
 1  2  3  4  5  6  7  


광륵사



가장 많이본 기사
“앞뒤, 위아래, 낮밤을 한결같이”
앞과 같이 뒤를한결같이,뒤와 같이 앞을한결같이,위화 같이 아래를한결같이,아래와 같이 위를한결같이낮과 같이 밤을한결같이,밤과 같이 낮을한결같이(ⓒ장명확)불교 신행을 하다 보면 삼매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된다...
경주지역 문화유산 조사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다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광복 80주년 기념 ‘2025 숭문대 인문학 강좌’ 개최(4.9.~11.12. 총 6회)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소장 임승경)는 오는 4월 9일부터 11월 12일까지 총 6차례...
4월은 “불교의 달, 마음 평안의 달”
대한불교조계종(총무원장 진우 스님)이 4월 1일부터 5월 5일 부처님오신날까지 기간을 “불교의 달, 마음 평안의 달”로 정하고 국제선명상대회,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연등회 등의 대규모 행사를 연이어 개최하여 불...
조계종, 제45회 단일계단 구족계 수계산림 회향
3월 28일, 금정총림 범어사 금강계단대한불교조계종 제45회 단일계단 구족계 수계산림에서 92명의 비구·비구니 스님이 탄생했다.대한불교조계종은 불기2569(2025)년 3월 28일 금정총림 범어사 금강계단에서 ‘제45...
운주사베스트 『무문관에서꽃이되다』 6위
<운주사 주간베스트 2025년 3월 20일 ~ 2025년 3월 26일> 순위   출판사 저자 1 밀교의성불원리:이번생에바로성불하는티베트불교의수행법 불광출판사 중암 선...
                                   
mediabuddha.net(c) mediabuddha News and Media Limited 2008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41730 / 정기간행물등록번호 : 서울-아-00650
인터넷 신문 일자 : 2008년 8월 27일 / 발행일 : 2008년 4월 1일 / 발행소 : 02826 서울특별시 성북구 아리랑로 5길 12-9 / 발행인·편집 : 신광수(법타스님)
사무실 : 02832 서울시 성북구 동소문로 13길 33 복전빌딩 201호
전화번호 : 02)739-5557 / 팩스 : 02)739-5570 / 이메일 : bind12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