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 즐겨찾기 추가 처음으로 | 로그인 | 회원가입

Home 이학종 미얀마 수행기
<이학종의 미얀마 수행기 >
1. 은둔의 나라, 빗장을 두드리다 내게 미얀마는 유독 은둔의 나라로 남아 있었다. 30년이라는 짧지 않은 세월 동안 불교 기자로 살았지만 이상하게도 미얀마와는 인연이 닿지 않았다. 기자 일을 접고 귀촌을 단행한 뒤에야 미얀마는 내게로 다가왔다. 벼랑 끝에 선 한국불교가 지향해야할 방향을 고민하면서 자연스럽게…
이학종 | 2019-02-15 14:47
가마솥에 은행열매를 삶다
늦가을에 아들과 함께 주워온 은행열매만으로는 턱없이 모자랄 게 뻔해, 아내와 함께 재차 은행나무를 찾았다. 내년 농사에 사용할 천연 살충제 만들기에 나선 것이다. 친환경 농사를 목표로 하는 만큼 최고의 천연 살충제 ‘은행열매 삶은 물’을 미리 만들어 놓는 건 매우 중요한 숙제다. 현묘재 아래쪽에 있는 밤나무집 …
이학종 기자 | 2018-12-28 09:46
큰절 팥죽이 유난히 붉은 까닭은?
동지 전날, 농사일 마치고 마실 다녀오자는 아내와의 약속을 지키고자 1박2일 일정으로 집을 나섰다. 그러나 평생을 부처님 밥 먹고 산 터라, 떠나봐야 부처님 손바닥이다. 목적지가 30년 불교기자로 일하면서도 한 번도 참배하지 못했던 절, 경북 청송의 천년고찰 주왕산 대전사(大典寺)인 것이다. 대전사는 평소 존경하는…
이학종 기자 | 2018-12-24 08:58
산골살이가 쉬운 일은 아니지만
밭에 퇴비를 뿌리는 것과, 콩을 쑤어 메주를 만드는 것으로 올 농사일을 다해마쳤다. 메주 만들기도 서너 번 경험하다보니 제법 수월해졌다. 나무로 만든 사각 메주 틀을 사용해 만든 메주가 지난해보다 더 매끄러워졌다. 손으로 잘 매만진 메주를 쇠스랑에 추려낸 짚을 깐 판 위에 늘어놓으니, 모양이 그럴듯하다. …
이학종 | 2018-12-14 08:40
“콩알 몇 개 더 줍는다고…”
따뜻한 겨울이 며칠 지속되더니, 이내 강마른 추위가 밀려왔다. 밤하늘의 달도 추위를 타는지 요즘 따라 병자처럼 파리하다. 대설(大雪) 다음날, 천지가 하얘졌다. 밤새 눈이 제법 내린 것이다. 살갗을 에는 미친바람이 살천스럽게 휘몰아쳤다. 마늘 밭을 덮은 비닐이 바람을 견디지 못하고 뒤집혔다. 밤새 눈이 내렸지만, …
이학종 | 2018-12-08 11:32
“더운 피 다시 돌 때까지…”
도처에서 살기 어렵다고 난리다. 볼멘소리 오가는 건 산골도 매한가지. 내 사는 마을에도 가짜뉴스가 돌아다닌다. 북에 귤을 보낼 때 돈도 함께 보냈다는 퍼주기 타령에서부터, 소득주도성장 정책으로 살기가 더 궁핍해졌다며 투덜대는 소리 왁자하다. 그러나 민초들이 행복했던 때가 언제 한번이라도 있었나? 고금을 불문…
이학종 | 2018-11-30 09:24
“그래요. 다시는 태어나지 말아요”
소설(小雪) 하루 전날, 눈 대신 비가 내렸다. 절기상 입동과 대설 중간쯤이니 완연한 겨울이건만, 일주일전 심은 상사화가 뿌리를 잘 내리고 있는지 확인하러 일찌감치 현관문을 나섰다. 소설에 꽃을 심고 가꾸는 게 의아할 수도 있겠으나, 이즈음은 아직 한겨울은 아니고, 또 이따금씩 따뜻한 햇살도 비쳐 소춘(小春)이라…
이학종 | 2018-11-23 09:49
“부엉이처럼 살아가라”
며칠 전, 화순에서 작업을 하는 박명숙 도예가로부터 ‘부엉이 연적’을 선물로 받았다. 작품을 구입할 형편이 못되는 산골 농부인지라 도예전이 열리는 갤러리를 찾는 것으로 ‘면피’를 한 것뿐인데도 과분한 대접을 받았다. 박 도예가는 “부엉이는 지혜를 상징하는 새이니, 부엉이처럼 지혜롭게 살아가라는 의미가 있다…
이학종 | 2018-11-16 18:54
“견디고, 참고, 기다리고”
‘호랑이보다 더 무섭다’는 곶감을 난생 처음 만들어보기로 했다. 감나무가 없어 곶감 만들 계획은 아예 없었지만, 이웃마을 지인께서 고맙게도 감식초 만들 정도만 남겨놓고 자기 집 감을 따가도 좋다고 알려왔다. 지금은 폐교가 된 옛 남산초등학교 부근에 서있는 대봉 감나무인데, 튼실하게 영글었다는 것이다. 우리 집…
이학종 | 2018-11-09 09:10
“초가 한 채면 족한 것을”
입동을 며칠 앞두니 발끝이 시리다. 지나간 여름, 염천(炎天)의 괴로움을 그토록 겪고도 따뜻한 것이 이토록 그리워지니 사람 마음처럼 거풋거리는 것도 드물다. 그러나 어찌 사람 마음뿐이랴. 세상 모든 것 가운데 변하지 않는 것은 하나도 없는 것을! 변하는 것들은 무상(無常)을 가르쳐주는 좋은 스승이다. 그러므로…
이학종 | 2018-11-02 09:28
“찬 강물에 비친 가을달처럼…”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霜降)날 이른 아침부터 서리대신 가을비가 부슬부슬 내렸다. 여름 가뭄에 이어 가을에도 가뭄에 애를 태워야하나 근심하던 차에 내리는 비라서 퍽이나 반갑다. 그러나 가까스로 내리던 비는 동쪽에서 해 뜨자 그쳤고, 이내 청아한 가을 햇살이 마당을 말렸다. 일기예보에서 강우량이 미미할 것이라고 …
이학종 | 2018-10-26 08:39
파도가 시체 밀어내듯!
이른 아침부터 고구마 수확에 나섰다. 올해는 밭 가장 아래쪽에 조금만 심어 수확량이 많지 않다. 감자와 달리 고구마는 너무 크면 외려 푸대접을 받는 터라 촘촘히 파종했지만 내다 팔 것이 아니니 크면 어떻고 작으면 또 어떠랴. 아들이 호구로 땅을 파헤치면 나는 고구마 줄기를 잡아 끌어올리고, 아내는 흙을 털어낸다.…
이학종 | 2018-10-19 08:23
“세성(목성) 따라 한 생이 가네”
밤이면 별구경을 하러 마당으로 나간다. 달빛 한미한 초승이나 그믐 무렵엔 별들이 더 또렷하다. 소동파의 묘사처럼 달 밝은 밤에는 별이 드문 법이지만[月明星稀] 달구경이 주는 매력 또한 간단치 않으니 이래저래 산골의 밤은 즐겁다. 비 오거나 흐린 날이 아니면 식구와 함께 밤하늘을 감상하려 마당에 나가는 것이 어느…
이학종 | 2018-10-12 12:59
“오직 사랑하는 것밖에”
이른 아침, 오늘도 집 주위를 거니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했다. 집이 산기슭에 자리 잡고 있으니, 자연 집 앞으로는 마을이 한 눈에 내려다보이는 탁 트인 조망이 펼쳐진다. 조망은 역시 새벽 조망이 으뜸이다. 사실 귀촌을 계획할 때부터 이런 자리를 찾았으니, 귀촌의 첫째 목적은 훌륭히 달성한 셈이다. 기온이 부쩍 …
이학종 | 2018-10-06 08:13
저 날갯짓!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
찬 기운에 꽃이 드물어지면서 벌과 나비들이 바쁘다. 찬 기운 섞인 바람이 불면서, 꽃 보는 재미가 부쩍 줄어들었다. 화단의 국화는 벌써 시들었고, 배롱나무 꽃들은 한 나절이 다르게 생동감을 잃어간다. 뒤란의 무궁화도 몇 송이 꽃을 가까스로 피워내는 것으로 하루하루를 연명하는 중이다. 건넛집 할머니에게 …
이학종 | 2018-09-28 19:11
 
 1  2  3  4  5  6  7  8  9  10    


광륵사



가장 많이본 기사
“앞뒤, 위아래, 낮밤을 한결같이”
앞과 같이 뒤를한결같이,뒤와 같이 앞을한결같이,위화 같이 아래를한결같이,아래와 같이 위를한결같이낮과 같이 밤을한결같이,밤과 같이 낮을한결같이(ⓒ장명확)불교 신행을 하다 보면 삼매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된다...
경주지역 문화유산 조사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다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광복 80주년 기념 ‘2025 숭문대 인문학 강좌’ 개최(4.9.~11.12. 총 6회)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소장 임승경)는 오는 4월 9일부터 11월 12일까지 총 6차례...
4월은 “불교의 달, 마음 평안의 달”
대한불교조계종(총무원장 진우 스님)이 4월 1일부터 5월 5일 부처님오신날까지 기간을 “불교의 달, 마음 평안의 달”로 정하고 국제선명상대회,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연등회 등의 대규모 행사를 연이어 개최하여 불...
조계종, 제45회 단일계단 구족계 수계산림 회향
3월 28일, 금정총림 범어사 금강계단대한불교조계종 제45회 단일계단 구족계 수계산림에서 92명의 비구·비구니 스님이 탄생했다.대한불교조계종은 불기2569(2025)년 3월 28일 금정총림 범어사 금강계단에서 ‘제45...
운주사베스트 『무문관에서꽃이되다』 6위
<운주사 주간베스트 2025년 3월 20일 ~ 2025년 3월 26일> 순위   출판사 저자 1 밀교의성불원리:이번생에바로성불하는티베트불교의수행법 불광출판사 중암 선...
                                   
mediabuddha.net(c) mediabuddha News and Media Limited 2008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41730 / 정기간행물등록번호 : 서울-아-00650
인터넷 신문 일자 : 2008년 8월 27일 / 발행일 : 2008년 4월 1일 / 발행소 : 02826 서울특별시 성북구 아리랑로 5길 12-9 / 발행인·편집 : 신광수(법타스님)
사무실 : 02832 서울시 성북구 동소문로 13길 33 복전빌딩 201호
전화번호 : 02)739-5557 / 팩스 : 02)739-5570 / 이메일 : bind12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