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화 부문 최우수상 최학님의 ‘42수 관세음보살도’
조각 부문 최우수상 주성진님의 ‘성주괴공’
공예 부문 최우수상 윤기현님의 ‘다기세트 – 차공양’
디지털아트 부문 최우수상 이성원님의 ‘염원’
전시 : 10월 25일(수) ~ 11월 2일(목) 아라아트센터 2, 3층

대한민국불교미술대전 운영위원회(대회장: 총무원장 진우 스님, 운영위원장: 문화부장 혜공 스님)는 “제32회 대한민국불교미술대전 공모전”에서 수상한 작품을 시상하고 전시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시상식은 10월 25일(수) 오전 11시 아라아트센터 3층에서 진행되며 수상작 전시는 10월 25일(수) 오전 11시부터 11월 2일(목)까지 아라아트센터 2, 3층에서 관람할 수 있다.
최우수상_최학_42수 관세음보살도(회화)
155 × 144 cm / 금, 은, 천연안료, 비단, 한지
<대한민국불교미술대전>은 1970년을 시작으로 53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불교계 최고 권위의 미술대회로서 전통문화유산의 보존과 전승 그리고 신인작가 발굴 및 육성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올해는 디지털아트 부문을 신설하여 회화, 조각, 공예 총 4개 부문 공모를 시행하였다.
제32회 대한민국불교미술대전에는 회화 93작품, 조각 18작품, 공예 34작품, 디지털아트 13작품 총 158작품이 출품되었고, 각 분야별 3명~4명씩 총 13명의 심사위원들이 엄정한 심사과정과 토론을 거쳐 분야별로 입상작을 선정하게 되었다. 이 중 수상작은 총 45작품으로 최우수상 4작품, 우수상 4작품, 장려상 8작품, 특선 5작품, 입선 24작품이다.

최우수상_주성진_성주괴공_(조각)
160 × 200 × 20 cm / 홍송, 은행목, 꺾쇠, 석채, 분채, 아크릴 물감, 바니쉬, 옻
최우수상에는 총 4작품으로 회화 부문 최학님의 ‘42수 관세음보살도’, 조각 부문 주성진님의 ‘성주괴공’, 공예 부문 윤기현님의 ‘다기세트-차공양’, 첫 시행한 디지털아트 부문 이성원님의 ‘염원’이 선정되었다.
최학님의 ‘42수 관세음 보살도’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불화를 바탕으로 재해석하여 현대의 새로운 불화를 창조하고자 제작한 작품이다. 조각 부문 주성진님의 ‘성주괴공’은 물질이 생성되어 유지되고 소멸된 후 다시 공(空)인 상태로 변화하는 성주괴공(成住壞空)의 과정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공예 부문 윤기현님의 ‘다기세트-차공양’은 극락세계 아미타불에게 차공양을 올리는 것을 상상하며 구현한 금은 다기세트 작품이다. 이성원님의 ‘염원’은 오랜 세월 쓰러져 있는 열암곡 마애부처님을 밝히는 마음 속 염원의 등불을 담은 3D 영상이다.

최우수상_윤기현_다기세트-차공양(공예)
은제차통(높이9×지름7.5 cm), 금은잔(4×5cm), 옻칠잔1(7.5×9 cm), 옻칠잔2(6×8cm), 옻칠개완(8×9×3×=9cm)
홍송, 은행목, 꺾쇠, 석채, 분채, 아크릴 물감, 바니쉬, 옻
우수상은 총 4작품으로 회화 부문 김민주님의 ‘영산회상도’, 조각 부문 남진석님의 ‘흐름’, 공예 부문 조정훈님의 ‘석가모니 팔상성도 목판 및 목판인출본’, 디지털아트 부문 강혜정님의 ‘신수월관음도’가 선정되었다.
또한 장려상은 8작품으로 회화 부문 행오스님의 ‘묘법연화경 변상(1~7)’, 장미님의 ‘수파관음도’, 조각 부문 김대현님의 ‘아미타삼존불’, 박재완님의 ‘단비구법’, 공예 부문 김정호님의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 곽건찬님의 ‘순동제 순은상감 관음도’가 선정되었다.

최우수상_이성원_염원(디지털아트)
FHD 1920×1080P, 러닝타임 52초, MP4 / 영상
특선은 5작품으로 회화 2작품, 조각 1작품, 공예 1작품, 디지털아트 1작품을 선정하고 입선은 총 24작품으로 회화 13작품, 조각 6작품, 공예 4작품, 디지털아트 1작품을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