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 즐겨찾기 추가 처음으로 | 로그인 | 회원가입

Home 칼럼ㆍ기고 불교의 체계적 이해
열반이란 '현재의 생사로부터 해탈을 체득한 것이다'
반열반이 죽음을 가르키는 것은 이차적 전용이지, 본래의 뜻은 아니다 4. 해탈과 열반 2) 열반의 바른 이해열반은 불교 수행의 최고 경지를 표현하는 말이지만,그 언어적 인상은 소극적으로 느낄 수가 있다. 그러나 선과 악은 성질이 상반하므로 한 인간의 행위에 동시에 나타날 수는 없다. 악이 행해지고 있…
"생사의 구속을 벗어난 해탈이 열반이다"
열반은 심해탈과 혜해탈이 이루어질때 실현된다. 4. 해탈과 열반 1) 열반의 의미수행을 통해 도달한 궁극적 경지를불교에서는 해탈이나 열반이라는 말로 부른다. 해탈은 결박이나 장애로부터 벗어난 해방 ‧ 자유 등을 의미하고, 열반은 ‘불어 끈다’는 뜻으로서번뇌의 뜨거운 불길이 꺼진고요한 상태…
"8정도가 완성된 단계가 아라한이다"
수행을 통해 세계관과 심성의 정화가 이루어진다 3. 사성제설 2) 사과 사제 팔정도를 행하면 사람의 인격 구조에중요한 변화를 가져온다.세계관의 근본적 전환과 심성의 정화가함께 행해지기 때문이다. 4과는 명목과 밀의설을 제시하였지만 요의는 설하지 않으셨다.4과 중 어느 한 위치에 도달한 사람…
범속한 세간을 벗어나는 신성한 진리, ‘사성제,
"사제 팔정도는 ‘정사’(正邪)의 결택을 통해 생사의 괴로움을 근본적으로 극복하는 해탈의 길" 3. 사성제설 1) 사성제의 내용십이연기설은 인간에게 왜 생사의 괴로움(苦蘊)이 발생(集)하며, 또 멸할 수 있는가를 밝혀주는 가장 체계적이고 완비된 이론이다. 이러한 고온(苦蘊)의 집과 멸에 입각해서 베풀어…
"모든 악은 짓지 말고, 모든 선은 힘써하라"
"귀하고비천함은 업에 의한 것이지, 신분에 있는 것이 아니다" 1. 해와 행 2) 업설의 평가불교의 삼세업보설 ․ 육도윤회설은 실천적 인간의 시야를 현세의 테두리를 벗어나 무한한 시공 속에 펼치게 하며, 악을 멸하고 선을 행하는 강력한의지적 인간상을 부각시킨 것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계에…
선업에는 善報가 따르고 악업에는 惡報가 따른다
'업보,란 인간의 의지적 작용과 필연적 반응 3. 중도설(中道說)불교는 다른 종교와 확연히 구별되는 독특한 종교적 입장을 가지고 있다. 인도 정통파 사상의 아트만을 부정하는 무아설이라든가, 형이상학적인 희론을 부정하는 무기설들은 대표적인 것이라고 말할 수가 있다.1)무아설을 살펴보면 “일체법이…
법칙성에 대한 알음을‘명(明)’이라고 부른다
십이연기설은 인간의 죽음은 진리에 대한 무지라고 설하고 있다 2. 십이연기설 1) 십이연기설의 내용 제법의 실상에 대한 알음을 불교에서는 지혜(般若)라고 부른다. 지금까지 살펴본 일체의 구조(십이처 ‧ 사대 ‧ 오온)와 속성(삼법인), 인과, 인연, 상의상관, 법칙성 등이 제법…
의지적 작용을 '업'이라 하고 필연적 반응을 '보'라고 한다
무상하게 변하지만, 그 속에 일정한 법칙이 작용 제 3장 (4) 연기의 진리 1. 법칙성의 존재 모든 것이 무상변이하고 있지만 그들 속에는 일정한 법칙이 상주하여 그에 입각해서 그런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무상한 것 속에 상주하는 이 법칙의 존재야말로 더욱 중요하며 불교의 현실 관찰은…
영원한 진리
불교의 체계적 이해 (3) 2. 삼법인설(三法印說)십이처나 사대, 오온과 같은 것들이 어떤 속성을 갖고 있는가를 보자 그러한 일체는 모두가 무상하고 괴롭고 무아인 것이라고 석가모니께서는 단정하신다. “색은 무상하고 무상한 것은 괴로움이고 괴로운 것은 무아(無我)이다.수 상 행식 또한 그와 같다.”(…
“일체는 십이처이다”
불교의 체계적 이해 (2) 제2장 현실의 관찰 1. 일체의 구조 불교는 신이나 우주와 같은 초월적인 진리에서부터 설하는 것이 아니라우리들이 인식할 수 있는 구체적인 현실 세계의 관찰로부터 시작한다그 구체적인 현실 세계란 어떤 구조와 성질을 가진 것인가 1) 십이처설 인도에서 일체(sarva…
“종교적 진리 탐구의 길은 계속돼야”
불교의 체계적 이해(1) 故 고익진 박사(전 동국대 불교대학 교수)의 저서 『불교의 체계적 이해』를 요약 게재합니다. 제 1장 교설의 특질1. 진리성 주장의 문제 불교가 일어날 무렵(B.C. 5세기경)의 인도사회는여러가지 종교사상이 대립하고 있었다. 정통파 바라문교는 우주의 창조주이며 본질이기도 한 범(brahm…
 1  2  3  4


광륵사



가장 많이본 기사
부산 홍법사 “아메리칸 선명상” 워크숍 개최
부산 홍법사(주지 심산 스님)에서는 오는 4월 17일(목) 오후 2시~5시 흥법사 삼천불전에서, “아메리칸 선명상” 제4차 워크숍을 개최한다.이 워크숍은 지난 1월부터 매월 셋째 주 목요일에 열리고 있으며, 대지 스...
“몸과 말, 마음부터 청정하게”
몸 청정,말 청정,마음 청정을 갖추고,번뇌를 여의고청정을 성취한 님.모든 악 씻어낸청정한 님이네.(ⓒ장명확)청정(淸淨)이란 무엇인가? 맑고 깨끗하며, 속됨이 없고, 허물이 없으며, 집착하지 않고, 번뇌에 물들지 ...
청년 대상 “선명상 템플스테이 특별 주간” 운영
2025년 불교의 달, 마음 평안의 달 연계 4/7(월)~4/20(일)까지한국불교문화사업단(단장 만당 스님, 이하 문화사업단)은 4월 7일부터 4월 20일까지 2주간 ‘선명상 템플스테이 특별 주간’을 운영한다.이는 조계종이 ...
“2024년 한국 종교 및 불교 사회적 인식조사 발표회
신대승네트워크는 불기2569(2025)년 4월 5일(토) 오후 2시부터 오후 4시까지 불교환경연대 교육장에서 “2024년 한국 종교 및 불교 사회적 인식조사 발표회”를 개최한다.(온라인 줌 동시 진행 / *줌주소 : https://...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춘계학술대회 개최
(사)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에서는 ‘2025년 춘계학술대회’를 불기2569(2025)년 4월 12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조계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2층 국제회의장에서 (사)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주최 (재...
                                   
mediabuddha.net(c) mediabuddha News and Media Limited 2008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41730 / 정기간행물등록번호 : 서울-아-00650
인터넷 신문 일자 : 2008년 8월 27일 / 발행일 : 2008년 4월 1일 / 발행소 : 02826 서울특별시 성북구 아리랑로 5길 12-9 / 발행인·편집 : 신광수(법타스님)
사무실 : 02832 서울시 성북구 동소문로 13길 33 복전빌딩 201호
전화번호 : 02)739-5557 / 팩스 : 02)739-5570 / 이메일 : bind12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