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7일 ‘제23차 한·중·일 불교우호 봉은사 대회’ 개막
3국 300여 스님, 서울 봉은사서 세계평화기원법회 봉행

한국불교종단협의회(회장 진우 스님, 조계종총무원장)와 중국불교협회(회장 연각 스님), 일중한국제불교교류협의회(이사장 다케 카쿠쵸 스님)는 불기2567(2023)년 11월 7일 오전 9시 봉은사 대웅전(법왕루) 앞에서 ‘제23차 한·중·일 불교우호 봉은사 대회’의 본 행사인 ’세계평화기원대법회‘를 봉행했다.
’세계평화기원대법회‘는 불교종단협의회 사무처장 탄하 스님의 사회와 조계종 어산어장 인묵 스님의 의식집전으로 봉행됐다.

육법공양과 명종 및 명고, 삼귀의례, 헌화, 환영인사, 3국 예불의식(한 중 일順), 공지사항, 사홍서원 순으로 진행한 대법회에서 서울 봉은사주지 원명 스님은 환영사에서 “이번 교류대회에서 다지는 우리의 원력과 의지, 기원 덕분에 전 인류가 화합하고 세계 구석구석마다 평화를 이루어 환하게 웃으며 행복하게 살아가게 되기를 간절히 기원한다”고 말했다.

한국불교종단협의회 회장 진우 스님은 세계평화기원메시지를 통해 “지금 지구촌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은 끝 모를 전투와 인간의 이기로 인한 환경파괴가 불러온 기후변화는 위기, 빈곤・기아・폭력・불평등・양극화 등으로 국제사회는 심각한 갈등과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인류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다”며 “우리는 이 세상에 존재하며, 이 세상은 우리 안에 존재한다. 이 세상을 자비로 채우면 평화가 돌아올 것이며, 탐욕으로 채우면 고통이 돌아올 것이다. 우리 3국 불교도들이 먼저 이 세상을 자비로 채워나가자. 부처님의 지혜로 이 세상을 밝히자”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불교협회 회장 옌연각 스님은 “세기의 전염병은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고, 일방주의와 보호주의가 뚜렷하게 증가했으며, 무력 충돌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등 세계는 새로운 격동의 변혁기에 들어섰다”며 “더욱 두드러지는 글로벌 이슈에 단독으로 대응 가능한 나라는 없다. 단결하고 협력하며 서로를 포용·존중하는 것이 인류 진보과정에 직면한 어려움과 도전을 해결하는 올바른 방법”이라고 말하고 “우호교류의 폭과 깊이를 심화하고, 정법구주(正法久住), 사회화합, 인류행복, 세계평화 및 인류 운명 공동체 구축에 삼국 불교계의 지혜와 힘을 기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중한국제불교교류협의회 회장 이토 유이신스님 미야바야시 유겐 대독한 세계평화메세지에서 “인류는 운명공동체다. 인간세계는 다양한 관계를 유지하며 생존하고 있다. 그 관계의 유무가 생성이나 파멸로 이어진다”라며 “만물은 다양한 관계가 성립되지 않으면 존재할 수 없다. 우리는 생명의 생존을 근본으로 삼는 부처님 가르침을 기치로 모든 행위를 인간 생명의 문제로서 염두에 둬야 한다”라고 말했다.

세계평화기원대법회에 이어 봉은사 종루 앞에서 한중일 불교지도가 대표와 봉은사주지 원명스님은 소나무 기념식수 행사를 가졌다.
오후에는 서울 인터컨티넨탈 호텔 하모니홀에서 ‘4차 산업시대 불법홍포를 위한 삼국불교도의 역할’ 국제학술강연회를 개최했다. 한국 종단협 부회장 법명(관음종 총무원장), 중국불교협회 부회장 명성, 일본 기무라 세이민(교토대 연구원) 스님의 기조연설과 만청(대각종 총무원장)·보일(해인사승가대학장) 스님과 김태원 총지종 총지종보 칼럼리스트(이상 한국), 절강성불교협회 각성·중국불교협회 부회장 정자·산시성불교협회장 관욱 스님(이상 중국), 입정교성회 경도교회장 나카무라 켄이치로·일련종 구원사 마츠모토 가쿠교 스님의 학술발표가 진행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