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소한 양자역학의 세계의 내비게이터와 같은 책!
양형진의 『양자·정보·생명 - 양자역학과 양자정보이론』
불기2563년 9월 17일(화) 오후 7시 마포 다보빌딩(BBS) 3층 다보원서
(재)대한불교진흥원에서 매월 한 가지 주제 아래 저자 및 문화 예술가를 초청해 무료 대중강좌인 [화요 열린 강좌]를 열고 있다.
2019년 하반기 첫 강좌인 9월 강좌에서는 4차 산업 혁명의 이론적 기반이자 원천 기술로 이야기되는 양자역학과 이를 둘러싼 정보 및 생명 개념들을 설명함으로써 아직 대중에게 생소한 양자역학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한다.
이번 강좌의 대상도서는 『양자·정보·생명 - 양자역학과 양자정보이론』(한울아카데미 刊)을 가지고 불기2563년 9월 17일(화) 오후 7시 마포 다보빌딩(BBS) 3층 다보원에서 진행한다.
저자 - 양형진(고려대 과학기술대학 디스플레이·반도체물리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후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와 신시내티 대학에서 일했으며, 현재는 고려대 과학기술대학 디스플레이·반도체물리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산하대지가 참 빛이다(과학으로 보는 불교의 중심사상)』,『과학으로 세상 보기』가 있고,『놀라운 대칭성』, 『과학의 합리성』등의 역서가 있다.
목차
1부 양자역학의 해석
1장 양자역학을 어떻게 이해할까? / 장회익
2장 서울 해석이란 무엇인가? / 이중원
3장 측정의 문제와 서울 해석 / 김재영
4장 양자역학의 초기 해석 / 이정민
5장 존재론 해석과 봄의 양자운동이론 / 김명석
6장 여러 세계/마음 해석과 서울 해석 / 김재영
7장 측정의 사용과 양상 해석 / 이충형
2부 정보와 생명
8장 정보와 인식주체: ‘서울 해석’ 해석하기 / 이상욱
9장 정보의 개념, 섀넌과 그 이후 / 이정민
10장 정보 개념의 세 원천 / 김명석
11장 물질과 정보 / 최무영
12장 양자역학과 양자정보이론 / 양형진
13장 복잡계 관점에서의 생명 / 최무영·김민수
14장 앎이란 무엇인가? / 장회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