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계 4개 단체가 원폭 피해자와 후손 지원을 위한 법률을 조속히 제정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참여불교재가연대(상임대표 허태곤)는 5월 6일 불교생명윤리협회(대표 흥선 스님), 바른불교재가모임(상임대표 우희종), 대한불교청년회(중앙회장 전준호)와 함께 원폭피해자와 후손 지원 법률의 조속한 제정과 외교적 총력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 단체는 성명에서 “올해는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된 지 70년이 되는 해로, 현재 피해자 1세대는 2,584명(한국원폭피해자협회 등록, 2014년 12월 31일 기준)만이 생존해 있다”면서 “그 고통은 후손인 2세대와 3세대들의 정신적, 육체적 피해로 대물림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 단체는 원폭피해자들의 고통이 70년 간 대를 이어 계속되고 있지만 “국회와 정부의 소극적 태도와 무관심으로 특별법안 마련도 번번히 무산됐다”고 통탄했다.
따라서 한국인 원폭피해자의 문제는 “과거와 역사, 특정 피해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역사를 바로 세우고, 현재진행형인 인권과 생명의 문제”라면서 국회와 정부가 더 이상 관련 법률 제정을 늦추지 말고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는 “현재 ‘특별법’은 6월에 법안 심사를 앞두고 있으나, 매번 번번이 무산되었기에 가만히 기다리고만 있을 수 없어 릴레이 성명에 동참하게 됐다”면서 “오는 5월 13일에는 평화박물관에서 같은 내용의 성명을 발표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원폭피해자및자녀를위한특별법추진연대회의는 원폭피해자 특별법안 제정을 위한 활발한 활동을 위해 참여단체를 모집 중이다. 문의 02-744-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