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왕이 부처님 발아래 엎드린 까닭은?
[‘진흙속의연꽃’의 불교이야기] 123- 종교의 가장 큰 경쟁력은?“진정한 권위는 칼과 주먹 아닌 청정과 진리의 장엄에서 나온다”먼저 보는 사람이 인사하기인사는 왜 하는가? 존경심의 발로라 볼 수 있습니다. 존경하지 않는다면 인사하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존경하지 않는다면 어른이 지나가도 고개 뻣뻣하게 세우고 …
|
|
 |
“이상적 일심공동체는 어떻게 구현되는가”
[‘진흙속의연꽃’의 불교이야기] 122- 꼬삼비분쟁과 육화(六和)의 가르침“다투지 말고 우유와 물처럼 융화하며 서로 사랑스러운 눈빛으로 지내라”
세상 살면서 다툼이 일어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다툼이 일어난 것을 알고 보면 놀랍게도 가장 가까운 사이라는 것입니다. 남모르는 사람과 다툼이 일어날 가능…
|
|
 |
‘불음주계’가 취하도록 마시지 않기?
[‘진흙속의연꽃’의 불교이야기] 121- 한국불교엔 ‘학습계율- 오계’가 실종됐다
“법과 율에 근거하지 않고 임의적으로 해석‧적용한다면 본질에서 크게 어긋나”
백세시대라 합니다. 주변에 구십세를 넘어 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백세를 채우고 죽는 사람들도 점차 늘어난다고 합니다. 백세시대를 사는 요즘…
|
|
 |
“무주상보시 정신 민들레 홀씨처럼 퍼지리”
[‘진흙속의연꽃’의 불교이야기] 120- ‘작은손길’ 무주상 보시 13년 마무리“가장 낮은 자들에게 가장 낮은 자세로 봉사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회향”
살아오면서 남을 도우며 산적이 별로 없습니다. 가족을 부양하고 세금을 잘 내고 법과 질서를 잘 지키면 되는 줄 알았습니다. 오로지 자신과 가족 밖에 모르는 …
|
|
 |
“경전 읽는 것이 최고의 '마음 불사'”
[‘진흙속의연꽃’의 불교이야기] 119- 초기경전에 집착하는 나는 불교근본주의자“설령 경전에 집착한다는, 불교근본주의자라는 말 들어도 경전을 구입해 읽어야”사람마다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사람마다 가치관이 다르고 인생관이 다르다 보니 당연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같은 종교를 믿고 있는 사람들에…
|
|
 |
“소라고동 불듯 자비의 마음을 내라”
[‘진흙속의연꽃’의 불교이야기] 118- 소라고동의 비유와 자심해탈(慈心解脫)“자애의 마음 우주에 가득 채우면 더 이상 탐욕이나 성냄 등이 발붙이지 못해”불교를 지혜와 자비의 종교라고 합니다. 지관쌍수라 하여 사마타와 위빠사나를 함께 닦듯이, 지혜와 자비는 함께 닦아야 합니다. 지혜로운 자에게 자비가 있으며, …
|
|
 |
“‘꿈의 비유’ 부처님 가르침 아니다”
[‘진흙속의연꽃’의 불교이야기]117- 깨달음에 대한 꿈의 비유“믿고 의지할 만한 스승이 없을 때 초기경전에 의지하면 돼” 법문이나 강연을 들으면 기쁨과 환희가 생겨나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마음에 혼란만 일어나고 의구심만 든다면 역효과라 봅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상근기의 수행자에게나 해당 되는 …
|
|
 |
힘 있는 자가 인내해야 하는 이유
[‘진흙속의연꽃’의 불교이야기] 117- 승자의 리더십과 자비무적(慈悲無敵)
“힘없는 자는 참을 수밖에…인내와 화평에 대한 리더십은 부처님의 리더십”
리더십에 대한 이러저러한 책이 있습니다. 소위 ‘성공학’ 관련 서적입니다. 한때 이런 부류의 책을 열심히 읽어 본 적이 있습니다. 대게 ‘이러이러하게 해라’라…
|
|
 |
“모르면 차라리 가만있는 게 낫다”
[‘진흙속의연꽃’의 불교이야기] 116- “나눌수록 더 커지는 것이 보시공덕”“법을 의심하면 깨달음 없고, 깨달음을 사칭할 수 있어도 깨달은 자일 수 없다”
현존(現存)을 말하는 자들과 깨달음 사칭고요한 새벽입니다. 새벽에 눈을 감고 단 10분 만이라도 앉아 있는 서원을 세웠습니다. 그러나 뜻대로 되지 않습니다…
|
|
 |
“나눌수록 더 커지는 것이 보시공덕”
[‘진흙속의연꽃’의 불교이야기] 115 - 작은손길의 아름다운 회향
“모든 존재들이 행복하기를! 모든 존재들이 고통에서 벗어나기를!”빈부귀천을 막론하고 돌아갈 집이 있습니다. 아무리 누추하여도 편안하고 안락한 곳입니다. 밖에는 비바람이 몰아쳐도 북풍한설이 와도 안심입니다. 함께 해야 할 가족이 있기에, 또 지…
|
|
 |
“청정한 삶이 물이 필요 없는 목욕이네”
[‘진흙속의연꽃’의 불교이야기] 114 - 물에 의한 청정은 없다
“세례로 악업을 씻어낼 수 있다고? 그럼 개구리, 거북이, 악어는?”잘못된 믿음이 있습니다. 또한 잘못된 수행방법이 있습니다. 이를 ‘계금취견(戒禁取見)’이라 합니다. 계율과 의식에 집착하는 견해를 말하는데 불교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는 사견입니다.…
|
|
 |
불교는 진보해 왔을까 퇴보해 왔을까?
[‘진흙속의연꽃’의 불교이야기] 113 - 종교의 경쟁력에 대하여“큰 성전 건립 많은 신도 확보보다 부처님 가르침 대로 살아야”
종교의 경쟁력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사람들은 신도가 많다든가 성전이 크면 경쟁력이 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아무리 큰 성전을 가지고 있어도, 아무리 신도가 많아도 오래 유지한 종…
|
|
 |
“바다가 시체를 밀어내듯이”
[‘진흙속의연꽃’의 불교이야기] 112 - 바다와 같은 부처님의 가르침“여래는 오염된 이와 함께 포살에 참여하거나 계행의 항목 외우지 않아”
오염원으로 가득한 자는 기피대상입니다. 악취 나는 자를 가까이 하려는 사람은 없습니다. 특히 청정한 삶을 추구하는 승가에서는 함께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우다나 ‘포살…
|
|
 |
“아비담마 비난은 부처님 향한 주먹질”
[‘진흙속의연꽃’의 불교이야기] 111 - 아비담마의 기원“경‧율장이 부처님의 가르침이듯 아비담마도 부처님 직설”
아비담마의 기원은 부처님
아비담마 칠론에 ‘담마상가니’가 있습니다. 한역으로 ‘법집론(法集論)’이라 합니다. 최근 초기불전연구원에서 우리말로 번역된 담마상가니에 대하여 H법당 H스님은 …
|
|
 |
“이중표 교수는 틀렸다”
[‘진흙속의연꽃’의 불교이야기] 110 - 왜 불교를 철학화하려 하는가?“테크닉에 불과한 중론과 중도체계로 가르침을 재단하려하면 폐해 심각”
왜 불교를 철학화 하려 하는가? 테크닉에 불과한 중론과 중도체계
인터넷으로 주문한 책이 도착했습니다. 책의 이름은 ‘디가니까야’입니다. 편저자는 이중표교수입니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