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서예계의 거목 영운 김용진 선생과 일중 김충현 선생, 여초 김흥현 선생의 작품들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전시가 마련됐다.
동방대학원대학교는 학교 창설을 이끌었던 근현대 명필가 영운, 일중, 여초 선생을 추모하고 이들의 글씨를 널리 알리기 위해 ‘동방창설 삼선생 추모전’을 6월 25일부터 7월 1일까지 인사동 백악미술관에서 개최한다.

일중 김충현(1921~2006) 선생은 해서를 기본으로 자신만의 서체인 일중체를 완성시킨 한국 서예계의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삼성 그룹의 로고, 현대 그룹의 로고, 태평양 설록차 등이 선생의 작품이며, 순천 송광사 대웅전, 완주 송광사 일주문 편액, 봉은사, 법주사 법련사 등 전국 곳곳의 사찰 편액에 신심 깊은 불자였던 선생의 흔적이 남아있다.
일중 선생의 친동생이기도 한 여초 김응현(1927~2007) 선생 또한 한국 서예계의 큰 거목이다. 일중과 여초 두 형제는 함께 동방연서회를 결성, 한국 서단을 이끌어오며 7000여명에 가까운 후학들을 양성해 왔다.

안동 김씨 가문인 일중과 여초의 증조부 항렬인 영운 김용진(1878~1968) 선생은 한국 서단에서 당호인 구룡산인으로 더 유명한 인물이다.
안동 김씨의 후예로써 한일합방을 맞자 벼슬을 그만두고 초야에 묻혀 금서시화로 망국의 한을 달랬던 조선의 마지막 선비이자 문인화가였다. 영운은 중국의 신문인화를 받아들이면서도 중봉 위주의 운필로 소박한 화풍의 한국적 신문인화를 재창조해냈다. 이를 후학들에게 전수해 오늘날 현대 문인화를 개척한 인물로 평가되는 이가 바로 영운 김용진 선생이다.
영운과 일중, 여초는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무너져버린 한국 시서화의 맥을 잇고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1956년 12월 25일 동방연서회를 창립했다. 한국 최초의 서화 전수기관이었던 동방연서회는 현재까지 수많은 문인들을 배출해냈다. 또한 2005년 3월 개교한 동방대학원대학교는 서화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 및 교육기관을 설립하고자 했던 여초 김응현 선생의 뜻을 이어받아 설립된 학교이다.
동방대학원대학교는 세 선생을 기리기 위해 영운 김용진 선생의 서화 31점, 일중 김충현 선생의 작품 44점, 여초 김응현 선생의 작품 30점 등 총 105점의 작품을 전시한다. 이 작품들은 안동 김씨 후손들이 소장하고 있거나, 동방연서회, 일중묵연회에서 수학한 후학들이 소장하고 있는 것들이다.
이번 전시를 주최한 동방대학원대학교 정상옥 총장은 “원래 학교를 개교한지 3년째 되던 해인 2007년에 기념 전시회를 계획했으나 일중과 여초 두 선생의 상중(喪中)으로 연기되어 올해 두분의 대상(大喪, 3년상)을 지내고 비로소 전시를 개최하게 됐다”며 “이번 추모전이 사상 유례없이 침체된 서예계에 새로운 도약과 발전의 발판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