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으로 병을 치료한다”
의료 현장에서 만나는 ‘명상 치료’의 모든 것

지난해 UN이 12월 21일을 ‘세계 명상의 날’로 제정할 만큼 전 세계적으로 ‘명상 열풍’이 불고 있지만, 명상이 병의 치료에도 활용된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미국 병원들은 이미 1990년대부터 명상을 치료법으로 받아들였고, 현재 미국 최고의 암센터 45곳은 명상과 요가 등을 보완대체의학의 하나로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07년 강동경희대병원이 명상 프로그램을 개설한 것을 시작으로 현재는 여러 병원에서 환자들에게 명상 치료법을 적용하고 있다.
『병원 명상』은 의료 현장에서 명상을 치료법으로 받아들이게 된 과학적 근거와 구체적인 임상 사례 및 효과를 살펴보고, 환자가 증상별, 단계별로 수행할 수 있는 명상법을 안내하는 책이다. 강동경희대병원 한의학정신건강센터장이자 한국명상학회 이사장인 김종우 교수와 한의원에서 환자 치유에 명상을 활용하고 있는 곽희용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가 오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명상 치료법을 소개한다.
명상 치료는 인간의 고통을 극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는 치료법의 일종이다. 명상의 시작은 인간의 고통을 이해하는 것이다. … 증상과 고통 그리고 질병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멈추어 기다리면 고통은 완화되고 극복된다는 것을 명상 수련을 통해 경험할 수 있다.
--- 「명상이 필요한 환자들」 중에서
항암 방사선 치료를 받는 사람은 치료를 쉬는 기간에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만성 통증이 있는 사람은 진통제를 먹는 것 외에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우울증을 앓는 사람은 어떻게 일상생활을 할 수 있을까? 저자들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이 ‘명상’이라고 말한다. 명상을 통해 증상과 고통 그리고 질병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면 고통이 완화되고 극복됨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암, 정신 장애, 만성 통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명상이 어떻게 고통과 질병을 치료하는지를 보여 준다.
1부 ‘명상 치료’에서는 병원에서 명상을 치료법의 일환으로 받아들이게 된 근거와 역사, 국내외 현황을 살핀다. 명상과 의학의 첫 만남이라 할 수 있는 존 카밧진의 MBSR(마음챙김에 근거한 스트레스 완화)을 시작으로 우울증 재발을 효과적으로 막는 MBCT(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 치료), 불안을 조절하기 위한 ACT(수용 전념 치료) 등 다양한 명상 치료법이 개발?확산되는 과정을 소개한다.
2부 ‘과학으로 명상하기’에서는 뇌과학과 심리학에서의 명상 연구 성과를 짚어보고, 뇌과학과 심리학을 이해하면서 수행하는 명상법을 안내한다. 뇌과학 분야에서는 명상을 하면 정신이 맑아지고 주의 조절 능력이 향상되며 신체 감각의 자각 능력이 높아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심리학 분야에서는 명상의 내용과 과정에 따라 변화하는 인간의 감정, 생각, 행동을 연구함으로써 임상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부 ‘병원에서 명상하기’는 암, 정신 장애, 만성 통증의 치료에 명상이 활용되는 구체적 사례를 소개한다. 처음 병을 진단받았을 때의 당혹감, 치료 과정에서 겪는 고통 등 단계별로 변화하는 환자의 상황을 고려해 그에 맞는 명상법을 추천한다. 이와 함께 의료진이 명상을 치료법으로 활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 등도 담았다.
화병을 앓고 있는 환자 B-2는 걷기명상을 배워 매일 열심히 실천하고 있다. 불안과 분노가 치밀어 오를 때 우선 밖으로 나가서 걷는다. 그리고 명상으로 마음을 안정시키고 자신의 변화하는 감정을 관찰한다. 조절되지 않는 감정이 조절되는 것을 느끼고 있다.
--- 「명상 치료」 중에서
4부 ‘한의학으로 명상하기’는 한의학 임상 현장에서 명상과 기공을 접목한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질환의 특성에 따라 활용되는 ‘자생력 증진을 위한 마음챙김과 기공 훈련(MQT)’을 배워볼 수 있다.
5부 ‘한국 명상을 환자에게’에서는 명상의 과학화 대중화 과정에서 종교적 특성이 배제되어 온 현실을 짚고, 간화선 등 한국 불교의 치유적 특성을 담은 명상 개발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이와 함께 의료인이 의사로서의 입장과 수행자의 입장을 함께 고민하며 명상을 활용할 때 진정한 ‘치유 명상’이 이뤄질 수 있다고 당부한다.
임상 현장에는 인간이 가진 고통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고통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고통을 받는 나와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나에 대한 통찰이 필요하다. 이런 통찰을 통해 고통과 불안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이때 간화선이나 화두선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 「한국 명상을 환자에게」 중에서
저자들은 “명상으로 몸과 마음을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자생력을 키우면 고통이 줄고 병을 치료할 수 있다”며 “이 책이 명상을 통해 의사와 환자 모두 질병 치료의 중심이 되고 적극적인 주도자가 되는 안내서가 되길 희망한다”고 말한다.
명상은 이미 의료 현장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 『병원 명상』은 명상을 통해 환자와 의사 모두가 질병 치료의 중심이 되고 적극적인 주도자가 되어 고통을 치유하고 건강을 회복하는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저자 김종우. 곽흰용 | 담앤북스
145*210*20mm | 252쪽
정가 17,200원
저자
김종우
경희대학교 한의학과 졸업(한의학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졸업(한의학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졸업(한의학박사)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한방신경정신과학회장 역임 (사)한국명상학회장 역임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사업단 부단장 역임 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현) 한의학정신건강센터장
‘자생력 증진을 위한 마음챙김과 기공 훈련’을 개발해 임상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다. 환자가 일상에서 명상을 수행함으로써 자생력을 회복해 스스로 최적의 상태를 만들고 질병을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진료하고 있다.
곽희용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기(氣) 수련을 하는 아버지 슬하에서 성장해 기를 다루면서 환자를 치료하고자 한의학에 입문했고, 명상으로 마음을 치유하고자 정신과를 전공했다. 강동경희대병원에서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과정을 수련하며 김종우 교수로부터 명상을 배웠다. 한의원에서 환자의 치유를 위해 명상을 활용하는 한편 스스로도 명상 수행자의 길을 걷고 있다.
|
목차
들어가며: 병원에서 만난 명상
1부 명상 치료
1장 명상이 필요한 환자들 2장 명상과 의학의 만남
2부 과학으로 명상하기
1장 뇌과학을 이해하면서 명상하기 2장 심리학을 이해하면서 명상하기
3부 병원에서 명상하기
1장 병을 치료하기 위해 명상하기 2장 암을 치료하기 위해 명상하기 3장 정신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명상하기 4장 만성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명상하기
4부 한의학으로 명상하기
5부 한국 명상을 환자에게
닫으며: 의료인에게 필요한 수행자의 자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