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에서 벗어나는 길, 자유와 해탈’
마음을 찾아가는 불교 수행으로 대자유, 해탈의 세계로!
재단법인 대한불교진흥원(이사장 이한구)은 불교의 교리와 문화를 보다 쉽고 바르게 알리기 위해 발행하는 불교계 대표 대중 문화지인 월간 『불교문화』를 발간해오고 있다.
이번 달 12월호(통권 제156호)에는 ‘우리는 고통에서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까?’를 주제로 <자유와 해탈>을 특집으로 다뤘다.
우리가 느끼는 가장 직접적인 속박과 고통은 끝없이 이어지는 상념의 심리적 속박이다. 불교에서는 그러한 속박에서 자유로워지는 길은 자신의 마음을 보고 의식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하고 있다. 불교의 자유는 ‘자아’로 부터의 자유다. 그러므로 자유와 해탈은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나의 마음에서 찾아야 한다. 의식이 ‘자유’로 가는 길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깨달음의 중심에 있는 ‘마음’의 본질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자유는 공기와 같아 눈에 보이지도 않지만 사람을 포함한 많은 생명체는 자유를 누리며 살아가고 있다. 『불교문화』 12월호는 현대의 ‘자유’와 불교의 ‘해탈’이라는 가치에 대해 조명하는 특집을 마련했다. 또한 불교의 관점에서 해탈의 자유를 누리는 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해 소개했다.
먼저 ▲구상진 대한불교진흥원 이사이자 변호사가 ‘개인적 자유와 사회적 자유’에 대해 설명했고, ▲손윤호 전남대 강사는 ‘코로나 시대에 묻는 개인의 자유와 공공성’에서 코로나 팬데믹 이후 발생하고 있는 개인의 자유에 대한 제한 등의 상황에서 공동체와 개인과의 관계에 대하여 유기적으로 설명했다. ▲조은수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는 ‘서양의 자유와 불교의 해탈’이라는 주제로 ‘conver Buddhist’의 개념과 샘 해리스의 일화를 통해 서구사회의 새로운 현상들을 소개하고 있다. ▲송덕사 주지이자 행복문화연구소 소장인 원빈 스님은 ‘자유의 완성을 위한 불교적 수행’에 대하여 논하면서 불교에서의 ‘자유’는 ‘자아로부터의 자유’라 설명했으며, 불교적 관점에서 자유와 해탈을 위한 불교적 수행방법으로 ‘팔불중도’의 개념을 제시했다.
한편 2021년 캠페인 ‘육식을 줄이자’ 코너는 본인의 채식 경험을 소개하면서 개인의 건강 나아가 지구와 동물의 진정한 건강을 위해 독자들에게 채식 라이프패턴을 소개하는 인플루언서인 비건 보디빌더 이도경의 ‘인류의 진정한 건강을 위한 비건 빌드업’을 실었다.
이밖에도 생각을 쉬어가는 ‘선시(禪詩) 소개’, 계절의 변화를 한 눈에 보여주는 산사의 절경을 담은 ‘암자기행’, 한자경 교수의 심도 있는 해설이 함께하는 ‘유식이란 무엇인가’, 일아 스님이 현대적으로 해설하는 ‘불교경전 길라잡이『담마빠다(법구경)』’, 일상 속 건강지키기를 위한 명상, 만화로 보는 법구 명상 이야기 등 겨울의 문턱에서, 일상의 따뜻한 쉼표를 가져다 줄 풍성한 읽을거리를 담았다.
차례. 2021년 12월호(통권 제156호)
생각 쉬어 가기
아름다움이 머무는 곳 암자 기행|부안 내소사 청련암__윤제학・신병문 공간이 마음을 움직인다|강진 무위사__이종호
자유와 해탈 ① 개인적 자유와 사회적 자유__구상진 ② 코로나 시대에 묻는 개인의 자유와 공공성__손윤호 ③ 서양의 ‘자유’와 불교의‘해탈’__조은수 ④ 자유의 완성을 위한 불교적 수행__원빈 스님
2021년 캠페인|육식을 줄이자 인류의 진정한 건강을 위한 비건 빌드업__이도경
여시아문 유식이란 무엇인가 (6)__한자경 현대적으로 이해하는 불교 경전 길라잡이|『담마빠다(법구경)』__일아 스님 생명과학으로 이해하는 불교의 이치 (6)|진화하는 불교__유선경 불교와 신경과학의 세계 (6)|두뇌가 고통을 바라보는 방식__석봉래
나의 불교 이야기 불교를 만나 걷게 된 상담의 길__황수경
지혜의 숲 사유와 성찰|다시 불교를 보다 (6)__이수정 일상 속 건강 지키기 (12)__김종우 작은 것이 아름답다|나무를 심다__김승현
불교문화 산책 문태준 시인이 읽어주는 불교 詩 만화로 보는 법구 명상 이야기 12__방경일 책 읽기 세상 읽기|다이앤 애커먼의 『마음의 연금술사』__정여울
불교문화 뉴스 독자 후기 |
SNS로도 실시간 “월간불교문화”를 만날 수 있다.
(페이스북·카카오톡플러스·네이버블로그에서‘월간불교문화’, 인스타그램에서 ‘buddhismandculture’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