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위원장 지몽 스님, 이하 조계종 사노위)는 기초법 바로세우기 공동행동, 장애인과 가난한 이들의 3대 적폐 폐지 공동행동 등과 공동으로 오는 2월 24일(금) 오전 11시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전쟁기념관 앞)에서 ‘송파 세 모녀 9주기 추모제’를 개최한다.
지난 2014년 2월 마지막 월세와 공과금, ‘죄송하다’는 편지를 남기고 세상을 떠난 송파에 살던 세 모녀의 죽음으로부터 9년이 지났지만 빈곤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지난해 수원에 살던 세 모녀와 신촌에 살던 모녀의 사망 소식, 올해 1월 성남에 살던 모녀의 죽음까지 슬픈 소식은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지난 3년간 이어오고 있는 코로나 19는 감염병 종식이 언급되고 있지만, 그 여파와 세계정세 불안으로 인한 고물가, 고유가가 공공요금의 가파른 인상을 불러오고 있으며, 기후위기 등으로 인한 중첩된 국내외 정세는 빈곤층에게는 더없이 어려운 시기가 이어지고 있다. 반복되는 가난한 이들의 죽음이라는 비극 앞에, 책임 있는 정부와 국회는 매번 ‘위기가구 발굴’이라는 실효성 없는 대책만을 반복하고 있다.
빈곤 문제로 인한 죽음은 정부가 책임져야 할 문제이지만 송파 세 모녀 사건 이후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빈곤 문제는 가난한 이들이 긴급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회안전망의 부재와 빈곤의 책임을 개인과 가족에게 떠넘기는 사회구조에 있지만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등 실질적인 대책이 없는 것은 9년 전과 다를 바 없다.
조계종 사노위 관계자는 “송파 세 모녀 죽음 이후 49재를 거행했고 해마다 추모제를 진행해 오고 있으며, 이번 추모제에서는 정부가 책임 있는 자세로 실효성있는 정책을 펼쳐 가난 때문에 돌아가시는 분들이 더 이상 없기를 염원하는 기도를 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