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학종기자
urubella@naver.com 2011-04-19 (화) 19:05
크게보기
한나라당불자회 소속 의원 20여명이 4월 19일 오전 조계사 법당에서 도법스님의 지도로 생명평화를 위한 100배 정진을 하고 있다.
한나라당 불자의원 모임인 한나라당불자회(회장 이인기 의원)는 4월 19일 조계사 대웅전에서 ‘전통문화 수호 및 사회갈등 해소를 위한 상생과 화해 다짐 법회’를 봉행했다.
한나라당 불자 국회의원 20여명은 이날 조계사를 찾아 템플스테이 예산 삭감, 방재예산 전액 삭감 등 지난 예산심의 과정에서 정부여당이 민족문화를 홀대했음을 깊이 참회하고, 향후 전통문화 보전과 계승에 힘쓸 것이며 조계종이 진행 중인 자성과 쇄신을 위한 5대 결사에 적극 동참할 것을 서원했다.
이날 법회에는 최병국 국회 정각회장과 이인기 한나라당불자회장을 비롯해 이해봉, 김무성, 김학송, 조문환, 조윤선 등 한나라당 불자의원 20여명이 참석했다.
크게보기
도법 스님이 한나라당불자회 소속 의원들에게 민족문화를 잘 보전하는 것을 불교를 돕는 것으로 생각해선 안 된다고 질타하고 있다.
조계종 화쟁위원회 위원장 도법 스님의 지도로 봉행된 이날 법회는 삼귀의, 반야심경 봉독에 이어 ‘자성과 쇄신을 위한 생명평화 100배’ 정진 순으로 진행됐다. 100배 정진은 동참대중이 서로를 마주보며 절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도법 스님은 “지금 내 앞에 있는 대상이 국민이며 곧 부처님이라는 마음으로 정성을 다해달라”고 주문했고, 동참대중은 도법 스님이 내리치는 죽비 소리에 맞춰 100배를 했다.
100배 정진 후 도법 스님의 법문이 이어졌다. 도법 스님은 “여러분들이 여기를 찾은 것은 번지수를 잘못 찾은 것”이라며 “정부·여당이 찾아와 무릎을 꿇고 참회할 대상은 조계종도 불교계도 아닌 바로 국민”이라고 질타했다.
도법 스님은 불교정신과 헌법정신, 시대정신에 따라 국민을 위한 정부·여당으로 거듭날 것을 주문하며, 그 구체적 실천방안으로 현재 조계종이 추진 중인 자성과 쇄신 결사의 동참을 제안했다. 도법 스님은 “조계종이 진행 중인 자성과 쇄신 결사는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살아감으로써 국민의 종교로 거듭나겠다는 선언이자 실천운동”이라며 “정부·여당도 헌법정신에 따라 국민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 살아가겠다는 자성과 쇄신 운동을 추진해 국민의 정부, 국민의 여당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크게보기
도법스님의 법문을 경청하고 있는 한나라당 의원들. 도법스님 우측에 최병국 국회정각회장, 왼쪽에 이인기 한나라당불자회 회장이 앉아 있다.
도법 스님은 “정부여당과 조계종은 그동안 자신과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을 위해 부적절한 관계를 맺어왔다”며 “따라서 정부여당은 조계종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더 이상 조계사와 절을 찾지 말고 국민 앞에 무릎 꿇고 절하며 기도하라”고 강조했다. 도법 스님은 “조계종과 정부·여당이 진정으로 국민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 우리 문화의 계승·발전·창조를 위해 노력한다면 모두 물론 국민으로부터 적극적인 환영과 지지를 받을 것”이라며 “이 법석이 국민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 나설 것을 다짐하는 자리가 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크게보기
한나라당불자회 총무 조문환 의원이 발원문을 낭독하고 있다.
도법 스님의 법문이 끝난 후 이인기 회장은 “지난해 국회 예산안 통과 과정에서 민족문화를 선양하고 있는 템플스테이 예산을 삭감하고, 전통문화를 보존·보호하고 있는 전통사찰 방재 구축예산을 전액 삭감하는 등 우리 민족문화를 바로보지 못한 책임을 통감한다”며 “우리 시대 정법을 구현하는 길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정진하며 2000만 불자 앞에 부끄럽지 않은 불자의원이 되겠으며, 자성과 쇄신 결사와 민족문화 수호운동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한나라당 불자들은 총무 조문환 의원이 낭독한 발원문을 통해 “한나라당 불자들은 정부·여당과 불교계의 상생화합과 소통은 물론 그간 부족했던 전통문화 보존과 선양을 위한 불교관련 법령 제·개정에 적극 나설 것”이며 “조계종의 자성과 쇄신을 위한 5대 결사에 적극 동참하며 사회통합과 상생을 위한 종교간 화합에도 앞장서겠다”고 발원했다.
한나라당불자회의 조계사 법회와 총무원 방문에 따라 지난 4개월 여 지속됐던 조계종과 정부·여당 사이의 갈등은 사실상 마무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