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

일본 최초 불교사서『원형석서』<br>정천구 박사 한국어로 첫 번역

탁효정 | bellaide@naver.com | 2010-05-18 (화) 18:30

일본 최초의 불교사서(佛敎史書) 『원형석서(元亨釋書)(상)』가 처음으로 국역됐다.

부산대 한문학과 강사인 정천구 박사가 번역하고 역주를 단 이 책은 (사)불교학연구지원사업회의 불교소장학자 지원사업의 성과물로 편찬된 다섯 번째 저술이다. 이번에 나온 상권의 원서의 절반 분량으로 하권은 올해 말에 출간될 예정이다.

크게보기원형석서는 일본 중세의 임제종 승려인 코칸 시렌(虎關師鍊, 1278∼1346)이 일본과 중국, 한국의 승려들에 관해 기록한 편년체의 고승전이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코쿠 시렌은 1299년 송나라의 승려 일산 일녕(一山一寧)이 일본에 건너와 일본 고승의 행적을 물었으나 아무런 대답을 하지 못한 데 대해 부끄러움을 느끼고 일본 고승들을 소개하는 책을 만들 것을 결심했다고 한다. 그리하여 <고승전>, <속고승전>, <송고승전> 등을 전거로, 사마천의 <사기>와 구양수의 <당서>를 참조하여 10여 년의 노력 끝에 이 책을 완성하였다. 책을 완성한 해가 일본 연호로 원형(元亨 2년)인 1322년에 지어졌다 하여 <원형석서>라는 제목이 붙여졌다. ‘석서(釋書)’는 이 책이 불교사를 다룬 것임을 의미한다.

이 책은 일본불교사를 연구하는데 있어 기초가 되는 고전으로 꼽힌다. 이 책에는 백제의 의각, 도녕, 도장 등 우리에게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본에서 활동한 한반도 승려들의 행장도 간간이 등장하며, 당송시대 중국의 승려들도 다수 서술돼 있다. 이 책이 쓰여질 때와 비슷한 시기에 서구에서는 단테의 『신곡』이 완성됐고, 고려에서는 『삼국유사』가 편찬됐다.

특히 이 책에는 민간신앙과 불교가 결합된 양상들이 잘 드러나 있어 『삼국유사』와 비교 연구되기도 했다.

정천구 박사는 “『원형석서』는 일본불교사를 연구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긴요한 자료임에도 아직 국내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며 “원형석서에는 14세기까지 일본의 불교사 및 불교 문화사가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고 일본의 토착신앙인 신도와 불교가 결합한 양상들이 잘 드러나 있어 우리나라의 <삼국유사>(1289)와 유사한 면이 매우 많으면서도 뚜렷한 차이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책의 번역자인 정천구 박사는 원형석서와 비슷한 시기에 편찬된 일본의 불교설화집 『샤세키슈(沙石集)』을 2008년에 출간한 바 있다.

이 책의 저자 : 코칸 시렌(虎關師鍊; 1278-1346)

일본 중세의 임제종 승려. 시호는 혼가쿠국사(本覺國師)다. 어려서부터 제가(諸家)의 서적에서 일본의 신서(神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전적들을 읽고 배워, 유교와 불교를 아울렀다. 역사서에 남다른 안목이 있었고, 특히 문장에서는 한유(韓愈)를 모범으로 삼아 그 고갱이를 얻었다. 그리하여 일본 한문학사에서 우뚝 선 고잔(五山)의 학승들 가운데 가장 해박하고 지조 있는 선승이면서 빼어난 작품들을 여럿 남겼다. 1299년, 송나라에서 건너 온 일산일녕(一山一寧)을 만나서 자극을 받고 자국의 불교사 내지는 불교문화사를 편찬하려는 뜻을 세웠다. 그 결과 45세 때인 1322년에 <원형석서>를 완성하였다. 또 운서(韻書)인 <취문운략(聚文韻略)> 5권을 저술하였고, 시문집인 <제북집(濟北集)> 20권도 남겼다.

역자 : 정천구(丁天求)

1967년생.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부산대학교 한문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다. 󰡔삼국유사󰡕를 연구의 축으로 삼아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문학과 사상을 비교하다가 유교와 불교, 도교, 일본의 신토(神道) 등을 두루 섭렵하였다. 동아시아의 문화 전반을 이해함으로써 한국의 문학과 사상의 특성을 더욱 분명하게 드러내고 또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다고 여겨서, 월남의 불교사서인 <선원집영(禪苑集英)>을 번역한 <베트남 선사들의 이야기>, 일본의 중세불교설화집인 <사석집(沙石集)>󰡕을 번역한 <모래와 돌>을 내놓았고, 서구에 동양문화를 알리기 위해 영문으로 쓰인 <차의 책>을 번역하였다. 또 동양의 고전들을 아름다운 우리말로 번역하고 새롭게 주석할 필요를 느껴 <논어, 그 일상의 정치>를 저술하였다.



기사에 만족하셨습니까?
자발적 유료 독자에 동참해 주십시오.


이전   다음
Comments
비밀글

이름 패스워드

© 미디어붓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