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정우 기자
bind1206@naver.com 2024-05-28 (화) 10:02탈종교의 시대, 종교문해력으로 이해하는 올바른 불교
(재)대한불교진흥원에서 매월 한 가지 주제 아래 저자 및 문화 예술가를 초청해 여는 [화요 열린 강좌], 불기 2568(2024)년 6월 강좌에서는 <왜 여전히 불교인가>를 주제로 인문학자인 강성용 교수를 초청해 2,500여 년 전 ‘고생의 연속인 인생에서 어떻게 고생을 없앨까?’라는 붓다의 고민이 우리의 고민과 다르지 않다는 점을 깨닫고 ‘인생은 고생’이라는 단순한 명제를 풀어 보는 시간을 마련한다.
6월 강좌는 『인생의 괴로움과 깨달음』(불광출판사 刊)을 대상도서로 6월 18일(화) 오후 7시 마포 다보빌딩(BBS) 3층 다보원에서 강성용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교수의 강의로 진행된다.
영상 촬영 후 BBS-TV와 유튜브 “헬로붓다tv”에 업로드할 예정이다.
강성용(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Hamburg대학에서 인도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부교수로 있으면서 동 대학 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장을 맡고 있다. 주 관심분야는 인도고전학과 인도철학이며, 최근 현대 남아시아 각국의 사회·정치적 역동성에 대한 연구로 관심분야를 확장시키고 있다. 주요 저서로『인도 고전어 쌍쓰끄리땀』과 『빠니니 읽기』등이 있다. |
목차 발간사_이제 종교문해력이다 들어가는 말 1장 붓다에 관한 질문 고대 인도의 출가고행자에게 묻는 우리들 붓다가 되기 이전의 이야기들 자이나 전통에서 쉬라마나 이해하기 다르마와 까르마 이원론과 해탈 2장 붓다의 시대를 묻다 붓다의 시대와 사상 전통 제사의식과 학문체계 인도아리안과 짜끄라(cakra) 아리안의 이주와 사회 체제의 변화 3장 붓다의 출발을 묻다: 깨달음 그 고민의 출발점 고생(duhkha, 苦)에 관한 생각 발상의 전환을 맞다 붓다의 탄생, 깨달음 4장 붓다의 생각을 묻다: 가르침 가르침을 담은 틀 붓다가 제시한 길 출가자의 길 의지하여 생겨남 5장 불교의 출발 누가 듣고자 했는가 쏠림 없는 중간 길 여러 가르침들? 공동체 그리고 교리 6장 우리에게 주어진 붓다 그리고 불교 불교의 전승 전승의 한계와 가능성, 빠알리의 예 불교 철학의 쟁점 나가는 말_붓다의 해답과 우리의 남은 질문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