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

무각 스님 『자유로운 선과 치유의 세계』 출간

염정우 기자 | bind1206@naver.com | 2022-03-18 (금) 12:33

48개 공안을 엄선한 『무문관』을 강설하며 

여기에 나타난 병통과 치유에 대해 고찰한

알기 쉽고 실천하기 쉬운 선수행 지침서!!





『자유로운 선과 치유의 세계』는 속리산 청운사 여여선원장으로 있으면서 BBS불교방송과 제방선원 등에서 선 치료법회를 펼치고 있는 무각스님이 『무문관』 공안에 나타난 병통과 치유에 대한 고찰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무문관無門關』은 선종5가의 일파인 임제종에 속하는 남송의 무문혜개無門慧開선사가 46세 때 영가의 용상사에서 수행자를 위해 고칙 48칙에 평창評唱과 송頌을 가해서 『무문관』이란 제목을 붙이고, 자신의 찬술 이유를 말한 자서自序를 더하여 간행한 선서이다.

『벽암록』 · 『종용록』과 함께 옛날부터 선림에서 존중되었으며, 이 두 서적보다 공안公案의 수가 적고 내용도 간단명료하며 더욱이 한 사람의 손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사상적으로도 일관성이 있기 때문에 일반에게 널리 애용되었다. 특히 제1칙 조주구자趙州狗子의 공안은 유명하며, 여기서 해석하고 비평하는 무자無字야말로 종문의 일관이며, 이 일관을 이름지어 ‘무문관無門關’이라 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본 논서는 문門 없는 세계의 관문關門을 투과透過하기 위해 치열하게 내면의 경계境界와 마주서고 있는 48개의 공안公案을 엄선한 공안집인 『무문관』에 나타난 병통病痛과 치유治癒에 관한 실례들을 원문原文의 해석을 통하여 옛 선사들이 학인을 제접提接하는 과정으로 살펴본 것이다.

우리가 가장 건강한 상태를 알려면 오히려 건강하지 못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그 근거를 삼듯이 수행납자들의 깨달음을 향한 병통과 그 치유에 대해 공안집 『무문관』에 나타난 실례를 고찰해 봄으로써 나아가 깨달음을 향한 바른 정진의 지침이 되고자 한다. <작가의 말 중에서>


저자는 먼저 『무문관』 공안에 대한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정하였으며 무문관의 의의, 무문혜개선사의 간병론, 「선잠禪箴」(선을 닦는데 교훈이 되는 짧은 말)을 통해 본 무문관에 나타난 병통 및 치유의 예에 대해 강설하였으며 현대적 의미의 간화선 수행법은 무엇인가를 자세하게 보여 주고 있다.


먼저 수행과정에서 나타나는 병통을 무문혜개선사가 직접 납자들에게 제시한 「선잠」을 기준으로 하여 48개의 공안을 병통에 해당하는 예로 분류하였으며 『무문관』에 나타난 해석을 통해 이 병통과 치유에 대한 방편을 분석해 보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전통을 계승繼承하면서도 현대인現代人의 근기에 계합하는 간화선 수행법의 모색까지 함께 도모해 보고자 했다.

특히 「선잠」을 통해 본 공안집 『무문관』에 나타난 병통 치유의 예를 총 열 가지로 분류하고 여기에 해당하는 공안 48개를 예를 들어 알기 쉽게 설명하였다. 여기에 덧붙여 현대적 의미의 간화선 수행법과 병통의 치유에 대해서도 강설하였다.


저자는 맺는말에 

“선가禪家에는 큰 병통에 시달려 본 범종이라야 더 크고 아름다운 소리와 울림을 세상에 전할 수 있다는 말이 전해져 내려온다. 간화의 종착지는 궁극에 가서 한 개인의 깨달음을 아무리 심오한 경지로 구별할 수 있다고 할지라도 고해의 바다에 속하는 병통에서 헤매는 아픈 중생과 함께 갈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이는 각자 자신이 처한 병통을 치유할 수 있어 맑게 구름 걷힌 하늘을 바라볼 수 있게 될 것이며 백화가 만발한 아름다운 수행공동체로 사부대중이 함께 나아갈 수 있게 됨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고 하면서 간화선 수행을 독려하고 있다.


본서는 기존에 발행된 『무문관』 에서 볼 수 있는 공안의 원문을 소개하고 해석하는 것(본칙, 평창, 게송, 해석)과 아울러 병통 치유의 예를 열 가지로 예를 들고, 해당하는 공안을 분류하고 그 실례를 들어 자세하게 설명한 것이 특징이다.


저자 무각 ∥ 출판사 담앤북스

150 * 210 mm ∥ 410쪽

정가 : 23,000원



 

   저자  무각 스님


무각스님은 승가사 상륜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으며 무문관 등 제방선원에서 안거를 성만하였다.

동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상담심리 박사를 수료하고, 동 대학원 선학과에서 환성지안선사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득하였다.

동국대학교와 제방선원 등에서 ‘종횡무진 화엄경 강설과 선치료 법회’를 개설하였으며 BBS불교방송에서 ‘선어록 강설’을 펼치고 있으며 현재 속리산 청운사 여여선원장으로 정진하고 있다.




 

   목차


감사의 글 _4


Ⅰ. 서문 _13

1. 연구 목적 _14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_17


Ⅱ. 무문관無門關의 의의意義 _21

1. 공안집公案集 『무문관無門關』의 특징特徵 _24

1) 무문혜개無門慧開선사 행장行狀 _24

2) 공안집公案集 『무문관無門關』 _25

3) 공안집公案集 『무문관無門關』 화두話頭의 네 가지 유형類型 _27

2. 『무문관無門關』의 현대적現代的 의미意味 _30

1) 『무문관無門關』의 세 가지 입장立場 _30

2) 무자공안無字公案의 선종사적禪宗史的 배경背景 및 탁월성卓越性 _31

(1) 조주무자공안趙州無字公案의 탄생誕生 배경背景 _31

3. 『무문관無門關』의 현대적現代的 의의意義 _39


Ⅲ. 무문혜개無門慧開선사의 간병론揀病論 _41

1. 화두병통話頭病痛의 분류分類 _51

1) 대혜大慧의 간화看話 병통病痛 _51

2) 몽산蒙山의 무자십절목無字十節目 _52

2. 무문혜개無門慧開선사의 「선잠禪箴」 _59


Ⅳ. 「선잠禪箴」을 통해 본 공안집公案集 『무문관無門關』에 나타난

병통病痛과 치유治癒의 예 _63

1. 공안집 『무문관無門關』에 나타난 병통과 치유 및 공안의 분류 _64

2. 공안집 『무문관無門關』에 나타난 병통 및 치유의 예 _71

1) 순규수구循規守矩 무승자박無繩自縛의 병통 및 치유 _71

(1) 제13칙 덕산탁발德山托鉢의 예 _71

2) 종횡무애縱橫無?외도마군外道魔軍의 병통 및 치유 _81

(1) 제7칙 조주세발趙州洗鉢의 예 _81 (2) 제16칙 종성칠조鐘聲七條의 예 _84

3) 존심징적存心澄寂 묵조사선?照邪禪의 병통 및 치유 _89

(1) 제5칙 향엄상수香嚴上樹의 예 _89 (2) 제19칙 평상시도平常是道의 예 _94

(3) 제24칙 이각어언離却語言의 예 _98 (4) 제41칙 달마안심達磨安心의 예 _112

4) 자의망연恣意忘緣 타락심갱墮落深坑의 병통 및 치유 _121

(1) 제3칙 구지수지俱?竪指의 예 _121 (2) 제6칙 세존염화世尊拈花의 예 _130

(3) 제37칙 정전백수庭前柏樹의 예 _133 (4) 제42칙 여자출정女子出定의 예 _137

5) 성성불매惺惺不昧 대쇄담가帶鎖擔枷의 병통 및 치유 _141

(1) 제12칙 암환주인巖喚主人의 예 _141 (2) 제17칙 국사삼환國師三喚의 예 _145

(3) 제20칙 대역량인大力量人의 예 _149

6) 사선사악思善思惡 지옥천당地獄天堂의 병통 및 치유 _158

(1) 제23칙 불사선악不思善惡의 예 _158 (2) 제26칙 이승권렴二僧卷簾의 예 _163

(3) 제29칙 비풍비번非風非幡의 예 _178

7) 불견법견佛見法見 이철위산二?圍山의 병통 및 치유 _184

(1) 제1칙 조주구자趙州狗子의 예 _184 (2) 제4칙 호자무수胡子無鬚의 예 _189

(3) 제10칙 청세고빈淸稅孤貧의 예 _191 (4) 제11칙 주감암주州勘庵主의 예 _199

(5) 제15칙 동산삼돈洞山三頓의 예 _207 (6) 제18칙 동산삼근洞山三斤의 예 _217

(7) 제21칙 운문시궐雲門屎?의 예 _226 (8) 제25칙 삼좌설법三座說法의 예 _237

(9) 제27칙 불시심불不是心佛의 예 _246 (10) 제28칙 구향용담久響龍潭의 예 _252

(11) 제33칙 비심비불非心非佛의 예 _262 (12) 제36칙 노봉달도路逢達道의 예 _271

(13) 제38칙 우과창령牛過窓?의 예 _276 (14) 제48칙 건봉일로乾峯一路의 예 _281

8) 념기즉각念起卽覺 농정혼한弄精魂漢의 병통 및 치유 _288

(1) 제2칙 백장야호百丈野狐의 예 _288 (2) 제9칙 대통지승大通智勝의 예 _297

(3) 제30칙 즉심즉불卽心卽佛의 예 _304( 4) 제39칙 운문화타雲門話墮의 예 _312

(5) 제40칙 적도정병?倒淨甁의 예 _318 (6) 제43칙 수산죽비首山竹?의 예 _324

(7) 제44칙 파초주장芭蕉?杖의 예 _327 (8) 제45칙 타시아수他是阿誰의 예 _333

(9) 제47칙 도솔삼관兜率三關의 예 _336

9) 올연습정兀然習定 귀가활계鬼家活計의 병통 및 치유 _343

(1) 제34칙 지불시도智不是道의 예 _34 (2) 제35칙 청녀이혼?女離魂의 예 _347

10) 진즉미리進則迷理 퇴즉승종退則乘宗과

불진불퇴不進不退 유기사인有氣死人의 병통 및 치유 _353

(1) 제8칙 해중조차奚仲造車의 예 _353 (2) 제14칙 남전참묘南泉斬猫의 예 _357

(3) 제22칙 가섭찰간迦葉?竿의 예 _367 (4) 제31칙 조주감파趙州勘婆의 예 _379

(5) 제32칙 외도문불外道問佛의 예 _384 (6) 제46칙 간두진보竿頭進步의 예 _388


Ⅴ. 현대적 의미의 간화선看話禪 수행법 _395

1. 현대인의 간화선 수행법 _396

2. 간화선 수행법과 병통의 치유 _397


Ⅵ. 맺는말 _399

참고문헌 _402

표1. 『무문관』 「선잠」의 열 가지 병통과 치유의 예시에 해당하는 공안 _406

표2. 불조기연佛祖機緣 48칙 _407

부록. 선종법계도 _408





기사에 만족하셨습니까?
자발적 유료 독자에 동참해 주십시오.


이전   다음
Comments
비밀글

이름 패스워드

© 미디어붓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