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ㆍ예술 > 문화

고판화박물관 『한·중 민중판화 특별전』 개최

염정우 기자 | bind1206@naver.com | 2021-09-16 (목) 08:17

한·중 수교 30주년 기념으로 내년 초까지 열린다. 





치악산 명주사 고판화 박물관(관장 한선학)은 문화재청 생생문화재 사업으로 9월 25일부터 내년 1월 15일 까지 한중 수교 30주년을 기념하는 『한·중 민중판화 특별전』을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고판화박물관 한선학 관장은 “지금까지 동 아시아 고판화 특별전을 국내외에서 60여 차례 개최하였으나, 고판화의 전통이 이어져 온 근, 현대 판화를 소개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는데, 한·중 수교 3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으로 근대 사회계몽 운동과 큰 궤를 같이 하였던 근, 현대 한·중 민중판화 특별전을 개최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고판화박물관 소장품 6,000여 점 중 한·중 민중판화 60여점을 비롯해 민중판화관련 아카이브 자료 40여점 등 100여점을 선별해 선보인다. 



기민행열도2,이철수(89x152cm) 

대동세상,홍성담

(좌)북춤,홍성담, (우)새야새야,김준권


한국 민주화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한국의 민중판화는 목판화의 굵고 거친 선과 단순한 배경이 주는 강렬한 표현이 걸개그림이나, 삽화 전단 등에 활용되면서 민중미술이 추구했던 정신을 극대화 하는 예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특별전에는 한국 민중판화 대표작들이 대형 판화의 형태로 30여점이 소개되고 있다. 동학을 주제로 하는 이철수의 ‘기민 행열 2’와 김준권의 ‘전봉준의 새야 새야’가 소개되고 있으며, 광주민주화 운동을 주제로 홍성담의 ‘대동세상’, ‘북 춤’과



민주통일의 노래 부르세, 이기정,1988

크게보기
언론의 자유를,이인철



(좌)대나무,최병수(173x78cm)2, (우)삼재부,김경주


이기정의 ‘통일의 노래를 부르세’, 최병수의 ‘대나무’, 이인철의 ‘민주 언론’, 김경주의 ‘삼재부’등이 굵은 선과 날카로운 칼 맛을 느낄 수 있는 흑백판화로 소개되고 있다. 다색판화로는 홍선웅의 ‘민족통일도’, 김봉준의 ‘통일해원도’와 ,남궁산의 ‘봄처녀’등이 주목되는 작품이며, 오윤의 대표작 중 하나인 ‘춘무인, 추무의’가 사후 TP(Test Print)판으로 소개되고 있어, 오윤의 작품을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리가 되고 있다.   



민족통일도,홍선웅 

봄처녀,남궁산

크게보기
(좌)통일해원도,김봉준, (우)춘무인춘무의,오윤(사후TP,Test Print)


중국민중판화는 독일의 콜비치와 일본의 창작판화에 영향을 받았던 루쉰에 의해 신흥 목각 판화 운동으로 시작되어 봉건주의를 타도하는 사회 계몽운동으로, 중일 전쟁 시에 항일에 기치를 높였으며, 공산당 시대에는 중국 전통 년화에 접목하여, 공산당 홍보와 사상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지금도 중국에서는 현대 판화가 화단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이유 중 하나다. 



루쉰 초상판화  

전선으로나아가자,호일천,1932


탈포(포를 빼앗다),우문작,70년


이번 전시회에는 중국 민중판화 30여점과 아카이브 자료 40여점 등이 소개 될 예정이며, 주목할 작품으로는 신흥판화의 개산조인 루쉰의 다양한 초상판화가 소개되고 있으며, 중일전쟁 시 항일의 의지를 불태운 호일천의 ‘전선으로 나아가자’와 우문의 ‘탈포’를 비롯하여, 



신년화(모주석과농민대담,고원작1950년) 

공업판화 

다색판화, 고성초심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후에 중국 저명 판화가들에 의해 만들어진 신 년화 중 1950년에 발표되었던 고원의 ‘모주석 농민담화’ 비롯한 10여점을 발굴하여, 이번 전시회에 최초로 발표할 예정이다. 문혁시대판화와 경제부흥을 선도하는 공업판화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채색판화도 소개될 예정이다. 



판화잡지 창간호(1951년) 

중국공업판화판목
 


뿐만아니라, 중국에서 발행된 ‘판화’잡지 창간호를 비롯해, 다양한 한국과 중국판화 아카이브가 소개되어 한 중 근 현대 판화를 다양하게 접근해 볼 수 있도록 기획되었으며, 중국 공업판화에 사용되었던 베니어판 판목을 비롯하여, 다수의 판목도 소개될 예정이다.  


이번 특별전이 개막되는 9월 25일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열리는 ‘12차 원주세계고판화문화제’가 함께 열려 국제 판화학술대회와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판화체험 행사를 비롯해, 전통판화의 계승하는 ‘제9차 원주 전통판화 인출경연대회’도 열릴 예정이다. 특히 이날에는 현대판화와 고판화가 콜라보레이션이 될 수 있도록 기획되어 원주시립중앙도서관에서 열리는 고판화박물관 명품특별전인 ‘인쇄문화의 꽃-고판화’특별전을 참관하는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 



기사에 만족하셨습니까?
자발적 유료 독자에 동참해 주십시오.


이전   다음
Comments
비밀글

이름 패스워드

© 미디어붓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