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

꽃과 바람과 나무가 쓴<br>짧고도 청량한 자연의 경전

이힉종기자 | urubella@naver.com | 2011-06-10 (금) 11:23

크게보기불교방송 <행복한 미소> 진행자. 라디오 스타. 불교계의 글쟁이. 아름다운 문장가. 미소 스님. 남해 용문사 주지 스님…. 성전 스님에게는 따라붙는 수식어가 참 많다. 그가 세속에서 대중들과 함께 참 말씀을 나누고 전하면서 생긴 꾸밈말이다. 스님은 이런 말들에 그저 벙긋이 웃는다.

“내 꿈은 그냥 깊은 산속 오두막에서 사는 것이에요.”

이 책에도 자주 나오듯이 저자는 산속에서 혼자 사는 현자들, 꽃과 나무와 같이 홀로 있지만 무엇보다 아름다운 그들을 이야기하며 그리워한다. 성전 스님이 그런 그리운 이야기들을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새 책《어떤 그리움으로 우린 다시 만났을까》(마음의숲)는 별을, 산중에 홀로 핀 이름 없는 꽃을, 정신이 명료해지는 산사의 겨울바람을 그리워하다 다시 그들을 자연 속에서 만난 기쁨을 노래한다. 성전 스님은 말한다. 하늘에 구름으로 흐르던 물방울들이 빗방울로 내려와 만나는 찰나의 순간 속에 영겁의 기쁨이 들어있다고. 즉 이 책은 꽃과 바람과 나무가 쓴 짧고도 청량한 자연의 경전이다.

초록 언어, 푸른 문장으로 만들어 낸
불교계의 문장가 성전 스님의 자연 에세이!

스님 특유의 아름다운 문장, 자연과 삶에 대한 찬미로 가득 찬 이번 새 책에는 나무와 구름이 만난 이야기, 바람과 햇빛이 우리에게 전하는 말, 밤하늘의 수많은 별과 지상의 꽃들이 서로 그리워하는 이야기 등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마음 놓고 쉬어 갈 수 있는 초록 그늘의 쉼터를 내준다. 또한 영혼의 쉼과 함께 자기성찰과 존재의 이유를 확인하게 해 주는 깨달음의 글들로 가득하다.

몸과 마음을 치유하고 성장시켜 주는 글들
인생을 바로 보게 해 주는 칼릴 지브란의 《예언자》와도 같은 잠언!

"강에게 어디로 가느냐고 물으면 아마 이렇게 대답할 것입니다. 그냥 흐를 뿐이라고. 강에겐 모든 것이 현재이고 지금입니다. 지금 흐르는 것 외에 강에겐 어떠한 대답도 생각도 없습니다. 강은 다만 흐름에 마음을 다 모을 뿐입니다. 그래서 강은 흘러도 지치지 않습니다. 우리들 인생도 그냥 그렇게 흘러갔으면 좋겠습니다. 지금 여기에서의 삶을 전부라 말하며 흘러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강은 그냥 흐를 뿐> 중에서

너무 미워하지도 말고 집착하지도 말고 그냥 강처럼 흐르라고 말한다. 그것이 바로 사랑의 바다에 이르는 길이라고 전한다. 이처럼 저자는 우리가 살아가며 겪는 모든 문제들, 아픔, 슬픔, 힘듦, 어려움, 시련, 고통을 치유하고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자연뿐이며 심지어 죽음마저도 자연 속에서 답을 얻어낼 수 있다고 한다.

결국 이 책은 강, 구름, 바람, 햇빛, 별, 꽃, 산에게 저자 스스로가 끊임없이 물음을 던지고 고뇌하고 반성하며 답을 얻은 자연의 경전(經典)이다. 의외로 이 경전은 어렵지도, 길지도 않다. 지시문이나 강한 메시지가 담겨 있지도 않다. 오히려 새벽별을 바라보며 혹은 노을 앞에 무릎 끓고 자각하며 기도하는 저자의 풍경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삶이란 이런 것이다’라는 점을 일깨워 주고 있다. 그 일깨움이 꽃처럼 아름답고 가볍다. 명쾌하고 간단하다.



기사에 만족하셨습니까?
자발적 유료 독자에 동참해 주십시오.


이전   다음
Comments
비밀글

이름 패스워드

© 미디어붓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