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정우 기자
bind1206@naver.com 2021-01-13 (수) 17:54해인사역 추진위, 1월11일 정부 등 촉구서한
“국민 교통편의·문화유산 향유 위해 해인사 인접한 ‘해인사역’ 설치해야”
해인사역 추진위원회 총도감 진각스님(해인사 총무국장)이 입장문을 발표하고 있다(사진=‘해인사역’추진위원회)
국토부가 남부내륙고속철도(김천~거제, 남부내륙ktx) 건설을 추진하면서 해인사와 지역주민들의 염원을 외면하고 ‘해인사역’을 배제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논란이 커지고 있다.
해인사와 지역주민들로 구성된 ‘해인사역’추진위원회는 국토부가 잠정적으로 제시한 오는 2028년 개통 예정인 남부내륙고속철도(김천~거제, 남부내륙ktx) 건설 계획안에서 ‘해인사역’이 배제된 것과 관련해 삭발투쟁을 강행하고, 정부와 국회, 지자체에 해인사역 지정을 촉구하는 서한을 전달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제시한 후보지는 합천읍 서산리와 율곡면 임북리 2곳이다. 국토부는 이들 후보지를 놓고 1월 6일 주민설명회를 가졌지만 해인사와 합천군 일부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세계문화유산이자 기록유산인 해인사와 가야산 국립공원과는 동떨어진 곳에 자리하기 때문이다.
해인사역 추진위는 촉구서한에서 “국토부가 남부내륙고속철도 역사 선정과 관련한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서 해인사역을 배제한 것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며 “해인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자 세계기록유산인 팔만대장경을 위시한 수많은 국보와 보물을 간직하고 있고, 가야산은 산 전체가 국가지정문화재, 가야산국립공원으로 지정돼 있다”며 “국가세금으로 진행되는 국책사업인 남부내륙고속철도의 합천지역 역사가 반드시 ‘해인사역’이어야 하는 까닭”이라고 강조했다.
해인사역 추진위는 “해인사역 부지는 합천군은 물론 인접 지자체인 거창군과 고령군까지 두루 혜택을 입을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다”며 “해인사역이 설치되면 그 혜택은 국민과 지역주민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고 전망하고 “지역개발업자의 이해만을 반영해 해인사역을 선정하지 않는다면 수요저조로 공동화 돼버린 경전선의 ‘함안역’의 잘못을 되풀이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해인사역 추진위는 “남부내륙고속철도 노선에는 해인사와 팔만대장경이라는 ‘세계문화유산과 가야산국립공원벨트’와 남해안 한려해상공원의 통영, 거제를 잇는 ‘해양관광벨트’라는 두 가지 관광벨트가 있다”며 “경부고속철도 ‘대구~부산’구간을 직행하지 않고 경주를 거치도록 한 것은 경주의 문화유산을 고려한 것이다. 해인사역은 남부내륙고속철도 ‘김천~거제’ 구간의 직선코스의 중간에 위치해 예산증가요인도 없음에도 이 지역을 통과한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해인사역 추진위는 촉구서에서 ▲청와대 소관수석실 및 국토교통위원회는 국토부의 남부내륙고속철도사업의 내용을 전면 재검토해 합리적 노선과 역사 선정에 적극 나설 것 ▲국토부와 기재는 용역회사의 연구조사결과를 재검토하고 ‘해인사역’ 선정을 신속히 추진할 것 ▲환경부와 문화재청도 세계문화유산과 가야산 국립공원에 대한 원활한 국민적 이용을 위해 ‘해인사역’ 유치에 적극 나설 것 ▲경남도와 합천군은 소극적 행정에서 벗어나 국민 전체의 향유를 위해 ‘해인사역’ 선정에 적극적으로 앞장설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