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양희 시인이 도서출판 북인과 함께 시집 『마음을 걸다』를 세상에 내놓았다.
이양희 시인은 ‘언어’와 ‘세계’의 마주침을 매우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묘사해내고 있다. 생활이라는 지극히 사소한 곁과 주변, 그리고 뒤안길을 통해서 ‘세계’를 다시 쓰는 그의 독특한 시작 태도는 일상의 시간과 밀착되면서 깊어지고 확장되고 있다. 그는 일상과 밀착되는 동시에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 스스로를 일상과 완벽한 대칭으로 만들고 있다.
그가 쏟아낸 ‘말’들은 “햇빛 오글오글 모여 꽃이 피듯/ 그렇게 피워내는 꽃”과 대칭되며 그런 과정을 통해 그는 ‘말’을 매개와 지시가 아닌 사물의 신비를 직접 드러내는 일종의 ‘알레고리’로 만들어버린다. 이양희 시인은 대상에게 ‘말을 거는 일’을 ‘마음을 거는 일’과 동일시함으로써 그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말을 거는 행위는 단순하지 않다. 그것은 마음을 거는 일이자 당신에게 ‘나’를 거는 일이며, 동시에 ‘나’에게 당신을 거는 일의 시작이다.
마음을 걸다 1
귀에 귀걸이를 쏙 거는 일은
귀와 귀걸이가 만나는 일이어요
처음부터 잘 되지 않았어요
누군가에게 말을 쓱 거는 일은
마음이 마음을 만나는 일이어요
처음에는 아주 먼 길이어요
당신에게 말을 거는 일은
당신의 마음에게
나의 마음을 거는 일이어요
한마디 말은
햇빛 오글오글 모여 꽃이 피듯
그렇게 피워내는 꽃이어요
한마디 말을 거는 일은
당신에게 나를 거는 일이어요
나에게 당신을 거는 일이 시작되는 일이어요
이양희 시인이 열어젖힌 세계에서 우리는, 살아 있다는 강렬한 삶의 소용돌이를 마치 나의 감각처럼 명징하게 느끼게 된다. 끊임없이 솟아났다가 흐트러지는 덧없는 생활의 사소한 풍경도 그가 놓칠 수 없는 이유가 이것이다. 그에게 ‘시’란 대상에 시인 자신의 마음을 모조리 거는 일이기 때문에 이 소용돌이 속에서도 시적 대상은 시인의 언어 속에서 자신만의 고유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이다. 멈춰 있으나 스며들고, 움직이면서 헝클어지고 빛의 기울기에 의해 매번 표정을 바꾸는, 그러한 역동적인 ‘흐름’과 ‘이어짐’이 ‘마음을 거는 일’에서 시작된다. ‘이양희’라는 촘촘한 문장의 그물에서, ‘단절’과 ‘개입’이라는 직관을 통해서 그는 시에 생활을 강렬하게 기입한다.
이양희 시인은 시를 쓰지 않을 때도, 그의 맹렬한 걸음은 멈추지 않는다. 시를 쓸 때도 그 ‘장소’는 그를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결코 말해질 수 없는 생활의 ‘함께-함’이 곁과 주변, 뒤안길에 머물고 있는 한 그는 어린 매화의 첫말을 들으며, 톡톡 터지는 새순의 향기를 손에 움켜쥘 것이다. 그렇게 이양희의 시는 피어나 우리의 심성을 뒤흔들 것이다.
이양희 시집 ∥ 도서출판 북인
129 * 211 * 12 mm ∥ 120쪽
8,000원
이양희
경북대학교 철학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했다. 1990년 『현대문학』에 「별종 금붕어」 외 4편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시집으로 『사과 향기가 만드는 길』(실천문학사, 1996년), 『잘 익은 생각의 집』(여음출판사, 2000년), 『비스듬히 서 있는 당신』(효림출판사, 2013년)이 있다.
목차
제1부
첫말·13
봄산이 온다·14
마음을 걸다 1·15
마음을 걸다 2·16
아득한 그림·17
해석의 길 위에서·18
감나무의 말이 붉게 익었다 1·20
감나무의 말이 붉게 익었다 2·21
슬며시 쓰인 시·22
빌린 말·24
빈자리·25
매미 소리·26
아이와 새·28
새 달력·30
겨울 감나무·32
제2부
이 봄에는 그 꽃을 본다·35
꽃보다 오랜·36
살구나무와 창·37
안과 밖·38
한 연잎의 춤을 기억하다·40
저녁에·41
동행·42
벽이 단풍 들었다·43
이심전심·44
바람이 데려오는 꽃·45
춤과 꽃·46
사람들이 봄을 두드리네·47
봄꿈·48
단풍바람·49
틈·50
제3부
봄날 요맘때 저녁답 잠깐·55
모란의 마음·56
느닷없이 꽃길이다·58
오는 봄·60
가는 봄·61
비 온 다음 날·62
새 그림자·64
들깨 한 톨이·65
가을비·66
가을과 가을 사이·67
젖은 모래알 같은 날들의 기도·68
창문 너머 가을·69
단풍, 그 뒤·70
창 밖의 겨울·72
발등과 손바닥은·73
제4부
담을 치다·77
길 위에서, 나비의 꿈·78
끝을 붙들다·80
수처작주(隨處作主) 1·82
수처작주(隨處作主) 2·83
수처작주(隨處作主) 3·84
숲에서·85
참새의 요량·86
연방·88
바이러스는 알고 있다·90
밑줄·92
이상한 셈법·94
주객전도(主客顚倒)·96
길눈·98
지진 지대·100
해설/ 마음을 모조리 거는 ‘각오’, 그 치열한 뒤안길의 기록 / 박성현·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