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목판국제학술대회초청, 나라, 교토 주요 고판화 소장처 답사
일본유명잡지 ‘판화예술’ 원주세계고판화문화제 주목
명주사 고판화박물관이 동아시아 인쇄문화 교류를 통한 세계 고판화 교류의 폭을 넓히고 있다. 그 일환으로 박물관은 한국전통판화의 전승과 발전을 위한 일본 답사를 실시했다.
일본 나라 장곡사 목판조사
일본 쿄토 리치메칸 대학의 아트리서치센타의 초청을 받은 고판화박물관은 ‘제10차 해외 답사’를 지난 2월 26~3월 3일일까지 5박 6일에 걸쳐 실시했다. 답사기간 동안 일본 교토와 나라 일원의 고판화와 고판목의 유명한 소장처인 나라박물관과 나라 원흥사문화재연구소, 나라 장곡사 보물관, 교토의 만복사 보물관과 일본의 유명한 우키요에 판화 제작소인 운소도와 죽세당을 답사를 진행했다.
이번 답사는 2월 28일과 3월 1일 이틀간 열린 리치메칸대학 아트리서치센타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와 병행하여 열렸다.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 관련학자 40여명이 참석해 ‘동아시아 목판문화의 발전과 디지털 휴머니티의 가능성’ 이란 주제로 열린 국제 학술대회가 치러졌다. 한국의 발표자로 초청된 한선학관장은 ‘동아시아 고판화의 수집과 활용’이란 주제로 발표하여, 한국고판화박물관의 15년 동안의 활동과 성과를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국립나라박물관의 주선으로 일본의 주요 목판 소장처를 연구 조사할 수 있었다.
일본 잡지 ‘판화예술’ 2018 - 봄호)
특히 이번 학술대회 중 일본의 세계적 유명잡지인 ‘판화예술’ 2018년 봄(春)호에 작년에 문화재청 생생 문화재사업으로 실시한 『8차 원주세계 고판화문화제』가 2쪽에 걸쳐 실려, 참석한 많은 관련자들에게 한국 고판화박물관의 활동의 깊은 인상을 남겼다.
한선학관장은 “이번 일본에서 열린 학술대회와 답사를 통해 ‘동아시아 고판화 문화의 세계적인 보편성과 각 나라별로 발전적으로 계승된 차별성을 발전시켜 동양문화의 시대를 여는 동양 인문학의 중요한 도구로써 발전가능성에 주목하여야 한다”며,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 각 나라에서 일고 있는 목판 문화의 붐을 융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명주사 고판화박물관은 2003년 인쇄문화의 꽃인 동아시아 고판화의 가치를 체계적으로 수집· 연구 · 보존 · 교육하기 위해 개관했으며, 한국, 중국, 일본, 티벳, 몽골, 베트남 등의 고판화 자료 6,000여점을 소장하고 있는 세계적인 고인쇄 박물관이다.
교토리치메칸대학 학술대회
교토만복사수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