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정우 기자
bind1206@naver.com 2017-12-11 (월) 18:00역주자 소개은정희(殷貞姬) 이메일 ejh0348@hanmail.net 02-763-0348
현 서울교육대학교 명예교수.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 상임연구원과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역서로는 『대승기신론소기회본』, 『원효의 금강삼매경론』,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연산군일기』, 『이장의』, 『서애집』, 『미수기언』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는 『은정희 교수의 대승기신론 강의』, 『원효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의 사상가 10人 -원효』 등이 있다.
김용환(Kim Yonghwan)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경영학 박사. 미국 뉴욕시립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가톨릭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사단법인 한국명상지도자협회 창립 이사. 현 (재) 한마음선원 한마음과학원 기획조정실장.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연구위원, 인성교육인증위원, 신행혁신운동 기획위원. 주요 저역서로 『선치료』(공역)(2007), 『꽃을 피우는 나무』(공저)(2010, 2011), 『세포에게서 배우는 포용과 선택』(공역)(2016), 『비추는 마음 비추인 마음』(2017) 등이 있다.
김원명(Kim Won-M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철학박사.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소장, 우리말로학문하기모임 부회장, 불교학연구회 『불교학연구』 편집위원, (사)세계문자연구소 이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학과장,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대학 부학장, 2010서울시희망의인문학과정 한국외대 총괄교수 역임.
쓴 논문으로 「원효 관점에서 본 트롤리 문제 해결 방안과 새로운 규범 윤리학 이론 모색」(공저)(2017), 「대행선사의 한마음 사상을 중심으로 본 업과 삶」(2016), 「한국 근대불교학의 과제와 전망」(2016), 「홍대용의 세계관 변화와 그것의 현대적 의의」(공저)(2014), 「원효의 『열반경종요』에 나타난 일심」(2013), 「조주의 선문답에 대한 언어비판적 분석-‘깨달음의 역설’ 분석을 중심으로-」(공저)(2013), 「원효 일심의 정의와 의미」(2012), 「다산, 성리학과 탈성리학 사이에서」(공저)(2011), 「고향과 말-만해와 원효를 중심으로」(2010), 「원효의 비불교적 배경 시론」(2009), 「원효의 화쟁 글쓰기」(2008), 「원효 철학에서 일심과 화쟁의 관계」(2008), 「현대 문명 위기 극복을 위한 원효와 하이데거의 존재이해」(2007) 등 다수가 있다.
저서로는 『인물로 보는 한국의 불교 사상』(공저)(2004), 『원효의 열반론』(2008), 『원효』(2008), 『서술원리 논술원리1(서술은 매듭풀이다)』(공저)(2011), 『서술원리 논술원리2(논술은 따져밝히기이다)』(공저)(2011)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