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 전체기사

“동물은 고귀한 생명체, 살처분 중단하라”

배희정 기자 | chammam79@hanmail.net | 2017-02-14 (화) 12:01

조계종 사회노동위, 2월 14일 성명 발표해 근원적 대책 마련 촉구


 

크게보기

 

구랍 21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열린 조류독감 살처분 공동대책위원회 기자회견의 모습. 불교계에서는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와 불교환경연대가 대책위에 동참했다.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확산으로 전국에서 살처분된 닭과 오리 등 가금류가 3천만 마리, 소가 1천200마리를 넘어선 가운데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가 생매장 살처분 중단을 촉구했다.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위원장 혜용 스님, 이하 사회노동위)는 14일 성명을 발표해 “정부가 수년째 조류독감 예방과 방역에 대한 대책다운 대책을 세우지도 못해 야만적 살처분이 반복되고 있다”며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사회노동위는 “동물은 사람을 위해 죽임을 당하고 길러지는 존재가 아니라 같이 더불어 살아가는 고귀한 생명체”라면서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이렇게 많은 숫자의 동물들을 강제로 죽이는 국가는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동물 생명권과 복지에 대한 최소한의 배려심을 갖고, 살처분에 대한 즉각적이고 전면적인 검토에 들어가야 한다”면서 집단 공장식 사육에 대한 개선책 제시와 축산 자본에 대한 책임성 강화 등으로 근원적 대책을 강구하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구제역에 대한 국산화 예방접종 계획 수립과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시범 백신접종 등을 촉구했다.

 

이하 성명 전문.

 

 

반복되는 조류독감, 구제역 살처분 멈추어야 한다.

 

지난해 11월 17일 이후 지금까지  AI 조류독감으로 3,300만 마리의 닭, 오리가 살처분 당하였다. 1분에 370마리, 1초에 6마리 꼴로 생매장 당했다.


살처분 당하는 건 닭, 오리 들 만이 아니다. 지난 2010년 겨울과 2011년 봄 사이 145일간 347만 9962마리의 돼지와 소가 구제역 방역이란 이유로 살처분 당했다. 그 이후에도 세 차례 구제역이 발생했고, 약 20만7880마리의 돼지와 소가 땅에 묻혔다.


그리고 2017년 구제역이 발생하여 현재까지 1,200여 마리 소가 강제 살처분 당하였다.


수년째 반복되고 있는 조류독감의 원인을 철새에게 돌리고 있는 정부는 오직 살처분 만이 유일한 대책이 되어 있지 조류독감 예방과 방역 대책에 대해서는 수년째 대책다운 대책을 세우지도 못하고 있다.


구제역 또한 백신 접종만 하면 구제역이 발생 하지 않는 다고 하였지만 백신 접종 이후  농가당 사육 규모에 상관없이 1마리씩만 표본 검사한 소 항체 형성률(95.6%) 통계는 눈 가리고 아웅 이었으며 백신 예방 접종을 한 소도 구제역에 걸리고 있는 실정이다.


조류독감은 전문가들이 백신 접종에 의하면 예방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니 전면적 실시가 조심스러우면 시범적 실시라도 해야 한다.
그리고 집단 공장식 사육에 대한 개선책과 축산 자본에 대한 책임성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


구제역도 토착화되었지만 정부는 수입 백신에만 의존하지만 말고 즉각적인  국산화 계획을 세워야 한다.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이렇게 많은 숫자의 동물들을 강제로 죽이는 국가는 없다.


몇 년 동안 반복되고 있는 소, 돼지, 닭, 오리 등에 대한 무차별 살처분을 보는 국민들의 트라우마도 심각하다. 강제 죽임을 당하는 짐승들의 울부짖음이 온 나라를 덮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도 국민도 이제는 생각을 바꾸어야 한다.


국민에 대한 복지도 다급하고 필요한 것이지만 동물 생명권과 복지에 대한 최소한의 배려심을 가져야 한다.


이 땅에 살아가는 인간들을 위하여 동물이 처참하게 학살당하는 야만적인 살처분에 대한 즉각적이고 전면적인 검토에 들어갈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잔인한 무차별적인 대량 살처분은 살처분에 가담하는 사람들뿐만이 아니라 모든 국민들에게도 마음의 무거운 짐을 가져다주고 있다.
동물은 사람을 위하여 죽임을 당하고 길러지고 하는 것이 아니라 같이 더불어 살아가는 고귀한 생명체이다.


대량 살처분이 버젓이 매일 벌어지고 있는 세상에 어찌 생명에 대한 존귀함을 말할 수 있겠는가?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는 야만적고 반복적인 살처분에 대한 근원적인 대책을 강구할 것을 정부당국에 거듭 촉구한다.

 

2017년 2월14일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  



기사에 만족하셨습니까?
자발적 유료 독자에 동참해 주십시오.


이전   다음
Comments
비밀글

이름 패스워드

© 미디어붓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