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희정 기자
chammam79@hanmail.net 2017-01-12 (목) 18:14박수호 교수, 1월 12일 신대승네트워크 주최 특별토론회서
300만 불자가 감소했다는 통계 결과가 발표된 가운데, 불교계의 미래를 위해서는 불자에 대한 재정의와 조직으로서의 불교 종단의 구성 점검, 사찰 양극화의 해소 등의 문제를 짚어봐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 같은 주장은 1월 12일 열린 신대승네트워크(대표 이영철) 주최 종교인구조사결과 특별토론회에서 박수호 덕성여대 지식문화연구소 연구교수(사진)에 의해 제기됐다.
박 교수는 이날 불교여성개발원 지혜실에서 '2015센서스 결과(종교인구분포)와 불교의 미래'란 제하의 주제 발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그는 불자 감소의 원인으로 △교계 내부의 문제 △불자들의 기대 욕구를 채워주지 못하는 현실 △종교성 부재에 따른 이탈과 수련 중심의 신흥 종교 부상 △전근대적 신도 관리 및 처우 △종단 정치의 비대화 △사회적 신뢰의 상실 등을 꼽은 뒤 불교의 미래를 위한 여섯 가지 점검 과제를 제시했다.
그는 먼저 "절에 한 달에 한 번도 안 오거나 초파일날 절에 비빔밥 먹으러 오는 이도 불자라고 할 것인지 등 어떤 사람을 불자라고 부를 것인지 불자의 자격을 논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박 교수는 조계종 신도증 발급자가 30~50만 명이라고 한다면, 아무리 타종단의 수가 많다고 해도 수백만 명이 유령 불자가 되는 꼴이라면서 실제 신도가 몇 명인지 모든 종단들이 자체 통계를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래야만 인구센서스 결과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포교정책을 펼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조직으로서 불교종단의 구성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았다. 그는 불교 종단이 사부대중의 공동체라고 하지만, 여전히 스님들 중심의 종교라고 보는 것이 현실이라면서 스님 중심의 종교로 남을 것인지, 사부대중공동체로 남을 것인지, 또 출가자나 재가지도부의 기득권 포기가 가능한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박 교수는 "한 해 천 개 이상의 교회가 매물로 나오고, 대형교회는 신도가 늘고 작은 교회는 파산하고 있으며, 불교에서도 그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사찰의 양극화 해소도 중요한 과제로 지목했다.
그는 "대형 사찰과 관람료를 기반으로 한 사찰, 카리스마적 지도자가 존재하는 사찰과 그렇지 못한 사찰 사이의 양극화를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를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불교의 사회참여에 대해서도 "현재 방식의 유지와 변화, 개신교와 사회적 이미지 경쟁 여부, 사회참여의 공공성과 정체성 조화 문제 등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개인의 기대에 맞춘 포교 프로그램 구성과 강화 논의를 주문했다. 불교계가 불자들의 종교적 욕구가 성불인지 구복인지, 신앙의 형성이 선천적인지 후천적인지, 경제적 사회적 위기상황에서 제기되는 생존욕구를 불교가 얼마나 충족시키는지를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불교계가 앞으로 종교의 정체성이 약화되고 생활화되는 연성종교의 길을 걸을 것인지, 아니면 전면적 재조직화를 통한 경성종교의 길을 갈 것인지를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불교가 솔선수범‧시종일관된 사회참여와 교리와 신행과의 일체화 등을 통해 대외적 브랜드를 구축하고, 사부대중의 위상과 역할을 재조명하며, 불자들의 종교적 사회적 욕구 충족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함으로써 대내적 조직화를 이끌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박 교수는 2015년 실시된 인구주택총조사 방식의 변화에 대해 "문제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전수조사에서 인터넷 표본조사로 바뀐 데 대해 "20%의 표본을 미리 뽑고 인터넷에 응답을 권유하고, 미응답자를 직접 찾아 조사했기에 표본이 바뀐 것이 아니라서 자체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문제가 있을 수 있는 것은 가구 대표자가 바뀔 가능성이 있으나 몇 백만 명이 바뀔 만큼 중요한 오류사항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표기 방식의 변화에 대해서도 "개신교와 천주교 순서 문제라 불교에는 문제를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으며, 1인 가구 증가와 가구원 수의 감소에 대해서는 "10년 전 숫자 유지하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되는 불가피한 부분으로 오류를 발생시킬 만큼의 심각한 문제는 아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가족 내 종교 다양성이 존재함에도 가구주가 가족 모두의 종교를 응답하는 방식에는 문제를 지적하면서, 다른 국가통계에서의 종교관련 조사와 각 종교의 교세 통계 확보를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