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희정 기자
chammam79@hanmail.net 2016-09-03 (토) 02:08주호영 제20대 국회정각회 신임회장, 2일 교계 기자간담회서
“국회불자의원들의 중의를 잘 모아 나날이 발전하고 신뢰받는 정각회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주호영 제20대 국회정각회 신임회장(사진)이 2일 서울 조계사 대웅전에서 개원 및 회장 취임법회 직후 불교계 기자들과 만나 “화합과 원융으로 정치를 이끌어 나가겠다”면서 이 같은 뜻을 밝혔다.
주 의원은 “쉽지는 않겠지만, 조금씩만 상대 입장을 생각하면 풀어갈 수 있는 일”이라면서 “국회정각회는 정당 간 경색 국면을 풀기 위해 회의를 통해 의견을 나누고 역지사지하는 입장에서 견해차를 좁혀나가는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 회장은 국회정각회 결성 이래 1996년부터 2004년까지 구성조차 못했지만 지난해 법당 이전과 해외 성지순례, 불자 장병 위문 등 활발한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갈수록 늘어나는 정각회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현재 회원 41명 중 실질적으로 활동하는 인원이 10명 미만인 상황에서 불자이지만 지역의 종교 상황 때문에 국회정각회의 가입을 꺼리는 분들을 회원으로 가입시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할 계획이다.
또 정각회원들이 소속감을 갖고, 늘 불자라는 생각을 잊지 않으며 정치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일에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임기 중 불교계 네트워킹도 주 회장의 주력 과제다. 그는 “중앙신도회나 공불련, 군불총 등과 활발히 교류하면서 불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불교적 가치관과 세계관으로 정치하고 공무를 맡는 분위기를 확산해가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그는 기존의 한 달에 한 번 매번 개최해오던 정각법회를 공사상이나 윤회, 무아 등 주제별 법회로 운영해 공부하는 법회로 변화시키겠다는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문화재 관람료 문제와 관련해서는 “중국은 가는 곳마다 입장료와 관람료를 받아 관광을 증진하는데 우리는 별로 이득이 없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고 운을 뗐다.
이어 “규제를 풀고 누구나 자유롭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맞는 흐름인지, 환경을 개선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입장료를 부과하는 게 맞는 것인지 한 번 더 장기적 안목으로 검토해봐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외국에는 사유지이기 때문에 들어올 수 없는 곳이 많은 상황에서 사찰림이나 사찰이 소유하고 있는 땅의 입장 등에 대한 연구와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 회장은 “문화재와 관련한 입장만을 가질 필요는 없다”면서 “사찰 자체의 힐링, 위안, 휴식 등의 개념으로도 어떤 제도를 설정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10·27 법난의 재발 방지와 교훈을 위해 기념관을 건립하는 데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선 “10.27법난 재단을 만드는 것이 급선무다. 자비문중이라는 불교계가 토지 매입을 이유로 사유재산을 강제 수용하는 방법에 대해 의견이 있다. 강제 수용과 시세 과정이 국가법령과 충돌되는 부분이 있다”면서 “감정가를 넘는 소유주와의 차이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 등의 문제가 남았으나 해결책을 찾아나갈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종단으로부터 불교 관련 규제법령과 개선이 필요한 사항 법령 13개 시행령 3개 개정 의견 전달 받았다는 주 회장은 국회정각회가 불교계의 민원해결 창구 역할에만 머무는 것은 아니냐는 지적에 “형평성에 어긋나는 특혜는 안 되지만 정각회 논의를 거쳐 불합리한 과도한 규제는 풀어야 한다는 입장으로 여러 종교가 있으나 역사성에 비춰볼 때 국가 법령이 30개 이상 관련된 종교는 불교밖에 없으며, 그 법령을 국회에서 개정하고 다루기 때문에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이러한 역할보다 불자로서의 수행이나 신행과 관계된 부분, 불자답게 정치하는, 불교적인 가치관에 따른 정치 측면에 결코 소홀히 돼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