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 전체기사

“중앙종회는 ‘16권승’ 축출해야”

이학종 기자 | urubella@naver.com | 2014-11-06 (목) 16:47

‘청정한 바른불교를 희망하는 재가불자 모임’이 11월 5일 주최한 ‘확대재가회의’ 성격의 대중공사에서 조계종단 정화를 위해 재가불자가 결집하고, 이 취지에 찬동하는 모든 세력과의 연대를 결의했다. 이날 회의는 또 11일 개원하는 대한불교조계종 16대 중앙종회를 향해 “불조의 가르침을 거울삼아 종헌 종법을 준수하고 종단과 사부대중의 법익을 증진할 중앙종회의원의 직무를 성실히 수행할 것을 맹세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기로 했다.

 

확대재가회의는 이날 저녁 7시부터 9시까지 70여 명의 재가불자가 참석한 가운데 종로경찰서 앞 걸스카우트회관 강당에서 2차 성명 발표를 치열한 토론을 벌였다. 특히 11월 11일 개원하는 16대 중앙종회에 촉구서와 관련해서는 “도박 등 범계승려들에 의해 구성된 모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것이며, 그들에게 청원하는 식의 내용은 적절치 않다”는 이론이 제기되는 등 논란 끝에 집행부에 발표 및 내용, 시기 등을 위임했다.

 

확대재가회의는 또 “누구의 도움으로 당선이 되었던 중앙종회의원 스님들은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종단과 사부대중의 권익을 위해 직무를 수행해야 한다”며 “조계종 집행부가 부처님 가르침을 따르지 않는다면 중앙종회의원의 권한으로 불신임을 결의하여 종단에서 축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사적인 이해관계에 얽매여 종단의 부정과 부패를 묵인하고 부처님 가르침과 율장을 따르지 않는 가짜 승려를 비호하는 거수기 노릇을 한다면 사부대중과 2천만 불교도의 외면을 받을 것이고 무엇보다 무서운 인과응보의 과보를 면할 수가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11월 5일 서울 종로경찰서 맞은편 컬스카우트트회관 강당에서 개최된 확대재가회의 모습.

 

 확대재가회의는 이어 △청정승가 확립-도박 16권승 축출 △바른 수행풍토 정립 △재정 공개 및 사부대중 운영 제도 확립 △총무원장 직선제 개헌 △비구니 참종권 확대 △불교미래전략 수립 등을 11월 말경에 발표된 2차 선언에 포함시키기로 의견을 모았다.  

 

확대재가회의는 또 “사찰의 유지와 문화재 관리에 들어가는 모든 비용은 불자들의 눈물겨운 보시금만과 국민들의 세금”이라며 “국민 앞에 떳떳하고 불교가 존경받을 수 있도록 중앙종회에서 앞장서 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특히 “종단이 시끄러운 정점에는 총무원장이 있다”며 “종무행정 권한이 집중된 총무원장 중심제의 현실에서 구성원 일부만이 참여하는 간선제는 종단을 부패하게 만든 독소제도가 된 지 오래이므로 보다 많은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수렴할 수 있는 직선제가 종단의 부패를 막을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한편 청정한 바른 불교를 희망하는 재가불자모임은 1차 선언과 16대 중앙종회 개원에 즈음한 촉구서 발표에 이어 11월 말이나 12월 초에 청정한 불교를 염원하는 2차 선언을 발표할 예정이다. 1차 선언에 160여명이 동참했으며, 2차 선언에는 최소 5천여 명 이상의 재가불자들이 선언에 동참할 예정이라고 대표단은 밝혔다.
한편 이날 확대재가회의에 모인 70여 명의 재가자들은 ▲보시 거부 및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시 운동 전개 ▲권승 비호하는 검찰과 법원, 정치권에 대한 경고 ▲푸른승가회, 삼화도량 등 취지를 같이하는 세력과의 연대 ▲삼귀의에서 승가에 대한 귀의 배제한 2귀의 시행 캠페인 ▲큰스님 호칭 사용 않기 ▲세미나, 법회 등 정기적 집회 등을 추진하자는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향후 활동의 주요 실천강령으로 채택하기로 했다.



기사에 만족하셨습니까?
자발적 유료 독자에 동참해 주십시오.


이전   다음
Comments
비밀글

이름 패스워드

© 미디어붓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