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연재 > 불교상담소

대기설법은 맞춤형 설법인가요?

| | 2010-09-20 (월) 14:18

<문> 불경에는 많은 비유와 예화가 담긴 문학이라고 하는데 이렇게 많은 비유와 예화를 설한 특별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답> 의사가 환자의 병에 따라 각기 다른 약을 주듯이[應病與藥], 우리 중생들의 수준과 능력, 그리고 이해 정도와 요구가 각양각색이어서, 그들에게 제각기 가장 적절한 가르침을 주신 것을 가리켜 대기설법이라고 합니다. 불교의 8만4천 법문이 있게 된 것도 바로 여기서 비롯된 것이지요.

대기설법(對機說法)이란 많은 비유와 예화를 들어서가 아니라, 수많은 중생의 능력과 소질에 맞추어서 가장 알맞은 법을 설한다는 의미합니다.

그런데 전체적으로는 대기설법이라고 하지만,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6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 상호설법(相好說法)입니다. 부처님의 거룩하신 모습 그 자체가 이미 훌륭한 설법으로서, 중생을 감화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둘째, 문답법(問答法)입니다. 문답법은 청중의 질문에 일일이 답해 주시는 형식이지요. 대승경전들 대부분이 이런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특히 󰡔금강경(金剛經)󰡕, 󰡔원각경(圓覺經)󰡕이 이에 해당됩니다.

셋째, 전의법(轉意法)은 상대의 논설을 결코 부정하지 않고 오히려 그 내용을 전환하면서 보다 새로운 의미를 부여해 가는 방법입니다. 주로 외도(外道)들을 제도할 때 이용하셨는데 󰡔육방예경(六方禮經)󰡕이 이에 속합니다.

넷째, 묵언법(黙言法)은 수행에 도움이 되지 않거나 또는 대답할 가치가 없다고 판단되는 질문의 경우에 해당하는데 가령 14무기(無記) 등을 가리킵니다.

다섯째, 운문(韻文)은 기억과 암송에 편리하게 대답한 것으로서 󰡔법구경(法句經)󰡕이나 󰡔숫타니파다(Suttanip󰐀ta)󰡕 등이 이에 포함됩니다.

여섯째, 인연담(因緣談)은 인과법을 올바르게 알리기 위해 설하신 가르침을 말한다.

이와 같이 부처님께서는 모든 중생들이 성불할 수 있도록 여러 방면으로 길을 열어주시고 있습니다. 부처님이 위대한 것은 깨달으신 분이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부처님을 더욱 위대하게 하는 것은, 당신의 깨달음을 아직 눈뜨지 못한 우리 중생들에게 펼치고자 이와 같은 노력을 기울이신 데 있습니다.

진언이나 염불이 입에서 입으로 전달 받는 방법이라면, 경전은 입으로 전하여 마음으로 전달 받는 것입니다. 그리고 부처님의 팔상성도(八相成道, 출생에서 입멸까지)가 몸으로 전하여 몸으로 알게 해 주는 방법이라면, 염화미소(拈華微笑)는 마음으로 전하여 마음으로 전달 받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들이 이상으로 삼고 있는 것은 바로 네 번째 방법이 아닌가 합니다.



기사에 만족하셨습니까?
자발적 유료 독자에 동참해 주십시오.


이전   다음
Comments
비밀글

이름 패스워드

© 미디어붓다